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69. 가족상담자의 역할
69. 가족상담자의 역할 ▷ 처음 가족과 대면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상담자는 상황에 따라 어떤 말과 행동방식이 적절한 지, 더 효과적인지를 연구하며 많은 경험을 쌓아야 한다. ▷ 상담자는 개입 전략에서 때로는 감정이입적이고 공감적인, 때로는 객관적인, 때로는 적극적 인 참여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 유능하고 경험이 풍부한 상담자는 다양한 역할을 자유자재로 소화해 내고 어떤 경우에도 자 아방어기제를 활용하지 않는다(김혜숙, 2003). 1) 상담초기단계 ▷ 가족의 행동방식, 상호관계, 가족의 역할에 대한 언어적 ∙ 비언어적 메시지를 순간적으로 잘 관찰해야 한다. 누가 누구 옆에 앉는지, 누가 누구를 쳐다보며 말하고, 누구를 회피하고, 누 가 전혀 이야기하지 않고, 누가 인상 쓰고, 누가 웃고, 누가 어떤..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68. 가족상담의 기법과 실습
68. 가족상담의 기법과 실습 1) 가족조각 ★ 가족조각(family sculpting) 기법-가족상담과 치료에서 가족이 특정 사건에 대한 거리감, 대 처하는 자세나 태도를, 신체를 통해 시각적 ∙ 공간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 가족의 감정적 대립과 갈등을 말로만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족 구성원 간의 관 계를 시각화하여 모사함으로써 가족 구조를 사실적으로 지각하며 인정할 수 있다. 가족은 가 족조각을 통해 가족의 상황, 위계질서, 연합, 거리감, 또는 친밀감, 보이지 않는 힘의 작용 등의 상호작용을 직접 느낄 수 있고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상담자1 : (가족을 향해) 자, 이제 가족 서로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몸으로 보여 주는 조 각을 해 봅시다. 가족구성원이 서로 안전하고 편안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