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과실제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68. 가족상담의 기법과 실습

728x90
반응형

68. 가족상담의 기법과 실습

1) 가족조각


가족조각(family sculpting) 기법-가족상담과 치료에서 가족이 특정 사건에 대한 거리감, 대
처하는 자세나 태도를, 신체를 통해 시각적 ∙ 공간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  가족의 감정적 대립과 갈등을 말로만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족 구성원 간의 관
계를 시각화하여 모사함으로써 가족 구조를 사실적으로 지각하며 인정할 수 있다. 가족은 가
족조각을 통해 가족의 상황, 위계질서, 연합, 거리감, 또는 친밀감, 보이지 않는 힘의 작용
등의 상호작용을 직접 느낄 수 있고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상담자1 : (가족을 향해) 자, 이제 가족 서로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몸으로 보여 주는 조
각을 해 봅시다. 가족구성원이 서로 안전하고 편안하다고 느끼는 거리는 어느 정도인지를
몸으로 표현해 보세요.
내담자1 : (서로가 원하는 공간과 친밀감의 정도를 몸으로 표현한다.)


2) 가족 가계도


★  가계도(genogams)란 내담자 가족의 여러 세대에 걸쳐 나타나는 가족의 패턴을 알고, 가족사
에게 나타나는 죽음, 질병, 사고, 성공 등이 핵가족의 사건들과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한 가족 도표다.
★  가족 가계도를 통해 가족의 정서적 경계와 체계, 개방과 폐쇄의 정도, 가족의 특징 등을 탐
색할 수 있다. 가족가계도는 상담과 함께 이루어지고 현 가족 상황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핵
가족에서 자신들이 만난 시기, 구혼과 결혼, 직업, 파트너와의 혼전관계, 자녀 출생과 현재
상태, 원가족과의 관계, 형제자매와의 관계, 정서적 밀착과 소외 등을 다룬다.
★  가계도는 내담자의 현 핵가족, 남편과 아내의 가족, 적어도 3대에 걸쳐서 조사되며, 가능하
면 가족이 많이 참여한 가운데서 상담자와 함께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빈 의자 기법


★  빈의자 기법(empty chair in family therapy)-빈 의자를 어떤 구체적인 인물이나 감정, 이

상, 공포 등의 상징적인 대상으로 간주하여 대화하도록 하는 기법으로, 주인공과 갈등을 일
으키고 있는 대상과 문제, 그에 대한 감정 상태를 알 수 있다.
★  빈 의자를 주인공과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대상으로 여기고, 의자를 내담자 앞에 두고 2개
의 의자에 번갈아 옮겨 가면서 두 사람의 역할을 하며 대화하는 방식이다. 상담자는 현재 내
담자와 갈등을 일으키는 대상을 빈 의자에 둔다. 가족 투사, 가족 연합, 희생양, 부모화 역할
등을 재작업 할 수 있다.
상담자1 : 부인, 저 의자에 당신 아들이 앉아 있다고 상상해 보시겠습니까?
(부인은 고개를 끄덕인다.) 아들에게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해 보시고, 그
것이 어떤 느낌으로 다가오는지도 말하세요.
내담자1 : ○○아! 너는 다른 사람에게 전혀 신경을 안 쓰는구나. 나에게 늘 상처만 주지.
넌 내말을 듣지도 않고, 내게 말을 함부로 하고, 학교에서는 말썽만 피워. 정말
실망이다. 정말 넌 골칫덩어리야.
상담자2 : 이제는 맞은편 의자에 앉아서 ○○이가 되어 당신 자신에게 이야기해 보세요.
내담자2 : 맞아요. 엄마는 나를 싫어해요. 엄마는 제가 하기 싫어하는 일만 하기를 바라시지
요.


4) 실연


★  실연(enactment)-과거의 사건, 즉 현재까지 살아 있는 과거의 사건을 현재 진행 중인 것처
럼 체험하게 하여, 그 당시 내담자의 욕구와 감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완성되지 않은 과거
를 해결하도록 한다.
★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현재의 것으로 재연하여 그 느낌과 결부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행동을 해 보게 함으로써 자신이 알고 있던 자
기 자신, 문제에 대해 통찰하게 한다.
★  이는 가족의 평소 상호작용을 상담실에서 직접 해 보는 것으로 이런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은 긍정적 변화에 유용하다. 다음사례는 내담자가 세 살 된 딸이 떼를 쓰는 상황을 통제하
기 어려움을 호소하는데, 마침 딸이 또 떼를 쓰는 상황이 실연되었다.
내담자1 : 세 살 된 딸이 떼를 써서 자기 할아버지, 할머니 앞이나 버스 안에서 나를 당황하
게 해요.
상담자1 : (세 살 된 딸이 상담 중에 어머니에게 껌을 달라고 요구하는 상황을 보고) 껌을
주지 마세요.
내담자2 : (훌쩍거리다가 크게 울면서 껌을 달라고 빌다가 마루에 드러누워 옷을 벗어던지
는 딸을 보고 있다가 껌을 주려고 한다.)
상담자2 : 껌을 주지 말고 꼭 안아 주세요.
내담자3 : (딸을 안은 채 30분쯤 지나자, 아이는 울음을 멈춘다.)
상담자3 : 지금 어떤 것을 느끼셨나요?
내담자4 :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딸아이의 행동을 단호하게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제게 있
다는 것을 알았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