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사 및 복지직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정책론 요약정리 29강. 미시적 전달체계의 유형과 특징

728x90
반응형

29강. 미시적 전달체계의 유형과 특징

- 길버트와 테렐은 미시적 차원의 전달체계에 있어서 먼저 전달체계가 가지는 약점을 서비
스의 단편성,비연속성,비책임성,비접근성으로 구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전략을 제시하였음


(1) 정책결정권한을 재구조화하기 위한 전략
① 조정(협조체제 구축)
-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를 개발하기 위해 기관 간의 관계를 바꾸는 전
략으로 크게 중앙화,연방화,사례별 협력으로 나눌 수 있음
• 집중화 : 행정적 통일 전략으로 사회복지 관련 업무를 통일된 전달체계로 통합하여 서
비스의 지속성과 연속성을 높일 수 있으나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연합화 : 지역적으로 집중화하고 행정적으로는 통합하지 않는 접근으로 기관 간의 자발
적 상호호혜적 공조체제,기관 기술,자원,지식,인력공동 출자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 협력 : 공식적이고 구조화된 서비스의 통합인 집중화나 연합화와는 달리 일선요원들이
사례별로 협력하는 방식을 의미


② 시민참여
- 기관과 클라이언트 사이의 의사결정권한 재분배 전략으로 참여를 통하여 접근 용이성
과 책임성을 높이려는 전략
• 비분배적 참여(유사참여) : 기존 권위구조의 변형은 없음. 치료,교육
• 명목적 참여 : 의사결정권한에 시민의 영향력이 존재하나 결과는 변하지 않음
• 재분배적 참여 : 의사결정권한에 시민의 실질적 영향력 행사하도록 권위구조의 변경


(2) 업무분담의 재조직화
① 역할부과
-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사회계급적,문화적,인종적 차이로 상호 이해와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중계자(토착적인 사람)에게 역할 일부를 부과 하는 것
- 이러한 인간연계를 통한 전달체계의 효과성을 높이는 전략은 비전문가에 의한 서비스
의 수준 저하, 비전문적 보조요원에게 역할을 부과하는데 대한 전문가들의 반발,긍정적
역할수행을 통해 서비스 전달체계의 일원으로 통합될 경우 비전문적 보조요원으로서의
장점이 훼손된다는 한계도 존재


② 전문적 이탈(전문가의 조직적 상황에서의 분리)
- 사회복지조직의 관료적 특성으로 전문가의 전문성,자율성을 속박할 경우 전문성과
관료성 사이의 딜레마에 빠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개인개업을 통해 조직에서
의 분리전략을 취할 수 있음
- 그러나 개인개업의 경우 한 전문가가 여러 문제에 대해 대처하기가 어렵고 클라이언
트의 욕구보다 전문가의 지식에 기반한 제한된 서비스만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


(3) 전달체계의 구조 변경
① 전문화된 접근구조(서비스 접근촉진 구조)
- 전달체계에 클라이언트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하여 전달체계의 구성변화
를 도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단일화된 인테이크 조직을 통해 서비스에의 접근 자체를
하나의 독립된 사회서비스로 제공하려는 것을 의미
-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는 관료적 구조가 또 하나 추가된 인식을 가질 수 있으
며 서비스의 지속성,통합성 유지가 어려움
- 아웃리치나 클라이언트 의뢰 서비스 필요성이 감소하여 기존에 행하던 접근서비스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음
- 사정 및 진단(접근)과 치료(서비스)를 분리시키게 되어 현실적으로 불편 가중


② 의도적 중복
- 기존 전달체계 내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새로운 기관이 제공
하거나 지리적,교통의 장애가 있을 때 같은 서비스 조직을 접근 용이한 곳에 새로 설치
하는 것을 의미
• 경쟁 : 클라이언트와 자원에 대해 기존 기관과 경쟁관계에 있게 될 새로운 기관을 만
드는 전략으로 선택의 폭을 확대하여 기관과 전문가들이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민감하도
록 하는 방법이나 기관 간 불필요한 경쟁을 유발할 수 있음
• 분리 : 새로운 기관을 기존 전달체계 외부에 만들어 새로운 서비스 전달망을 구축하여
기존 전달체계가 소홀이 다루었던 문제,비정통적인 서비스를 제공 할수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