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31강. 사회문제의 정의 및 조건
1) 사회문제의 개념과 특성
♤ 사회복지문제는 사회복지정책을 형성토록 하는 가장 중요한 동인이자 사회복지정책의 주원료
♤ 사회의 어떤 사건이 불특정 다수에게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됨으로써,많은 사회구성원에게
서 그것을 해결해야 한다는 공론이 제기될 때 사회문제가 형성
♤ 즉, 개인문제가 사회문제화 되기 위해서는 ① 불특정 다수에게 ② 불만족스러운 상태가 ③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갖춰져야 함
♤ 여기서 불특정 다수란 누구든지 해당 사건의 당사자가 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
♤ 사회문제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짐(socially constructed)
♤ 따라서 특정 현상이 어떤 사회에서는 사회문제로 규정되지만 다른 어떤 사회에서는 전혀 사
회문제가 아닐 수 있음
〈표 8-3> 사회문제의 정의 및 조건
정의 | ① 사회적 현상들이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② 특정개인에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다수의 사회구성원들에게 부 정적인 영향을 끼쳐 피해가 발생되거나 다수의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되는 것으로서 ③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사회의 다수 구성원들이 생 각하는 것 |
조 건 | ① 불특정다수에게 ② 불만족스러운 상태가 ③ 일정기간 이상 지속되어야 함 |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정책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및 복지직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정책론 요약정리 33강. 정책아젠다 형성과정에 관한 제 이론들 (1) | 2024.04.24 |
---|---|
사회복지사 및 복지직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정책론 요약정리 32강. 사회복지 정책문제의 이슈화 및 전략들 (1) | 2024.04.23 |
사회복지사 및 복지직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정책론 요약정리 30강. 정책과정론에 따른 정책과정의 단계 (0) | 2024.04.21 |
사회복지사 및 복지직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정책론 요약정리 29강. 미시적 전달체계의 유형과 특징 (1) | 2024.04.20 |
사회복지사 및 복지직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정책론 요약정리 28강. 거시적 전달체계의 유형과 특징 (0) | 202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