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과실제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59. 단기상담에 적합한 내담자의 유형

728x90
반응형

59. 단기상담에 적합한 내담자의 유형

1) 비교적 건강한 내담자


인간관계에서 소통이 잘되고 정신 기능이 능률적인 내담자일수록 단기상담에 적합하다. 문제
가 심각하지 않고 표면적인 것에 불과할 경우, 상담자의 도움을 받으면 빠른 시일 내에 신속
하게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다.


2) 경미한 문제


○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비교적 경미한 것으로 지각하고 있고 문제에 대한 생각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잘 해결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단기상담이 효과적이다. 즉 문제의 해결책을 알기 원
한다면 단기상담에 적합한 내담자라 볼 수 있다.

 

3) 조직체의 구성원


○  각종 조직이나 기관의 구성원에게 더 적합하다. 군복무 중이거나 위급한 상황에 있는 군인의
경우 상담 받을 기회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단기상담이 더 적합할 수 있다.
○  발달 과정 중 진로선택과 가치관의 갈등을 경험하는 학생의 경우, 정신병리라기보다 발달적
위기인 경우가 많아 단기상담이 효과적이다.


4) 상실


○  인생에 주요한 영향을 끼친 주요 인물과 최근 사별했거나 이별했을 경우에는 단기상담을 통
해 상실에 대한 최선의 대처를 하도록 하여 생활의 적응을 도울 수 있다.


5) 급성적 상황


○  최근 내담자의 생활이나 지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서 정서적인 어려움을 갖고 있을 때 적
합하다. 급성적 상황 반응(acute situational reaction)은 외부 압력으로 인해 내면의 변화를
경험하는데, 전학이나 결혼 등 중대한 갈등이나 불확실성, 회의감을 느낄 경우, 단기상담으
로 그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면 효과적일 수 있다.


6) 발달 과업


○  임신, 출산, 자녀양육 등 부모로서의 역할이나 은퇴, 죽음, 노화 등 인간의 다양한 발달 과업
에 수반한 심리적 변화를 겪을 경우에도 단기상담은 도움이 된다. 비교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내담자일수록 성숙의 위기를 해결해 나갈 노력이 발휘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