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력개발과 활용

경영학, 자원관리, 인사관련 등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26. 교육과정개발의 의의

728x90
반응형

26. 교육과정개발의 의의

HRD전개의 세 번째 단계: 조직목적과 개인목적을 충족한 설계명세서에 따라 교육훈련과정개발
을 하는 것
♠  개발대상: 학습자용 교재개발, 교보재 초안개발, 교수지도안 개발, 교수전달매체개발, 교보재개
발, 교수매체의 선정과 개발, 강사 및 교수자 선정을 위한 지침 등을 개발
♠  개발은 설계명세서에 따라 교육용 자료를 실제로 개발, 제작함: 시안 개발하는데서 출발


1) 과정개발의 의의


(1) 교육과정개발이란?
♠  전체과정과 단원설계의 결과를 사용하여 교수 매뉴얼, 학습자 교재, 평가 도구와 교보재
(매체포함) 등을 제작 가능한 형태의 완성본으로 개발하는 것


(2) 다음의 이론적 근거에 의해 과정개발 단계 실행
① 과정개발에서는 우선적으로 각 과목의 실험모형이 개발되어야 하고, 그것을 소그룹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해보아야 함
② 평가 도구의 개발은 실험모형을 적용하기 전 또는 형성 평가 이전에 만들어져서
실험모형을 평가할 때 사용되어야 하고, 또한 각 과목의 실험모형 형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설계의 수정을 거쳐 나머지 과목들도 개발함
③ 전체과정 및 단원설계 과정에서 완성된 설계 자료를 토대로 평가 도구를 비롯한 모든
교육자료를 개발
④ 이 단계의 산출물
- 제작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질 과정의 모든 자료들의 완성본
단원개발 계획서
과목 실험모형
과목 실험모형 평가 결과
교수 매뉴얼 완성본
학습자 교재 완성본
각 단원 및 과목의 평가 도구(과목 내 평가문항 포함)


2) 과정개발 시 전문가의 활용


(1) 전문가의 의의
①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수설계자는 내용전문가로부터 조언을 구하고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② 특정 주제 혹은 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③ 과정개발 시 교수설계자에게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람
④ 일반적으로 주제전문가(SME : Subject Matter Expert)로 부름


(2) 전문가 구분

① 내용전문가(Content Expert)
-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체계를 갖고 있는 사람
② 과정전문가(Process Expert)
- 특정 분야의 문제 해결 프로세스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을 기초로 문제 상황을
해결


(3) SME와의 협력관계 유지
① 내부 SME 활용
- 실무에 숙련된 사람도 보통은 교수설계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으므로 반드시 샘플을 제시
해서 일정한 형태(Form)를 유도하도록 함
- 강의경험이 있는 사람 활용
- SME에게 일을 부탁하는 경우는 낮은 강도에서 점차 높은 강도 요구
- 과제를 추진하지 않은 SME의 경우, 다른 SME가 작성한 샘플을 제시하여 서로 간의 경
쟁심을 유발시키는 것도 필요
- 잘하는 SME에게서 좋은 샘플을 만들어서 다른 SME에게 제시함
- 강의경험이 없는 SME에게는 소제목 작성 후에 설명을 하고, 받아 적어 내용을 확보함
② SME 동기부여
- 교수설계자의 중요한 자질은 SME에게 일을 시킬 수 있는 능력
- SME 중에도 우수한 자와 부족한 자가 있는데, 부족하더라도 계속 동기부여를 하고 부족
한 내용을 채워 넣을 수 있어야 함
③ 내부 SME를 활용하더라도 외부 SME의 검증을 거치도록 함
-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실무에 숙련된 사람이나 강의경험이 있는 사람 등 내부전문가를
활용하더라도 그들은 교수설계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므로 외부전문가의 검증을 거치
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4) SME 미팅 체크 포인트
① SME 미팅의 목적
② SME의 선정 기준
③ SME의 선발 인원규모
④ 개략적 SME운영 일정계획(최종 만료일)
⑤ 미팅 운영방법
⑥ 미팅 결과의 기록 및 문서 보관방법
⑦ 미팅 결과의 피드백 방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