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사 및 복지직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정책론 요약정리 5강. 이데올로기 개념의 등장배경과 현대적 의미

728x90
반응형

5강. 이데올로기 개념의 등장배경과 현대적 의미

1) 이데올로기 개념의 등장배경


개념
- 이데올로기(Ideology)는 사전적으로는 '개인적 또는 사회적 운동과 제도, 계급 또는 거대
집단들을 이끄는 기본적 지침, 신화, 신념과 가치정향 등'을 의미
◆  등장배경
- 최초로 등장한 것은 프랑스혁명 직후인 1789년
- 프랑스혁명 시에 좌파나 우파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했는데, 이는 프랑스 제1공화국 당
시 1789년 여름에 파리에서 국민의회가 소집되었을 때 생겨난 전통에서 비롯
- 당시 국민의회에는 사실상 3개의 정파가 참여했다고 볼 수 있는데, 회의장을 살펴보면 보
수파는 의장의 우측에, 급진파는 좌측에, 자유파는 중앙에 위치
- 이것을 계기로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좌파와 우파의 이데올로기 스펙트럼을 사용
◆  3가지 이데올로기
- 우파 이데올로기란 기존의 정치, 경제, 사회적 질서를 수호하고 합리화하는 보수 이데올로기
- 좌파 이데올로기는 급진적 내지 혁명적 이데올로기 즉, 기존의 정치, 경제, 사회적 질서
에 광범위한 변화를 시도하려는 이데올로기를 의미
- 중도파 이데올로기란 좌파와 우파의 이데올로기의 중간 형태로서 점진적 변화를 선호하는
개량주의적 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음
- 2019년 유럽의회에서도 여전히 좌측의 진보적 사회주의 입장부터 우측의 보수적 자유민주
주의 입장까지 자리해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림] 2019 유럽의회 좌우 이데올로기 스텍트럼

2)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이해


◆  근대적 의미의 이데올로기
- 마르크스(K, Marx)와 엥겔스(F. Engels), 비판적 의미로 사용
- 그들은 이데올로기란 자기 자신을 정당화하려는 지배계급이 사용하는 기만적 수단이며,
이를 통해 해당 사회에서 지배계급의 통치를 정당화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사회의 본질을
그릇되게 이해시킨다고 보았음
- 이러한 개념 사용은 이데올로기를 사회집단의 신념체계로 특징짓는 근대적 의미로서의 시
작으로 볼 수 있음

 

◆  현대사회에서의 이데올로기
-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주로 어떤 사회집단이 가지는 신념이나 태도의 체계, 또는 세상
을 보는 관점으로 이해
- 또 이러한 신념이나 태도 체계, 즉 이데올로기는 스스로 평가되기보다는 이데올로기가 보
여주는 실천적 효과와 사회적 이익에 의해 평가되어야 함
- 즉, 이데올로기의 진정한 개념은 언명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징후적(symptomatic) 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


3) 사회복지 이데올로기란?


◆  사회복지 이데올로기는 사회복지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입장을 의미
◆  현대 복지국가의 기초가 되는 사회복지 이데올로기는 다양한 사상적인 맥락과 정책의 진화
과정에서 발생
- 프랑스혁명이 추구한 인간의 자유, 평등, 박애의 사상, 벤담(Bentham)의 공리주의,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페이비언주의(Fabianisinn), 베버리지(Beveridge)의 사회보장, 케인즈
(Keynes) 경제 이론 등의 여러 사회사상은 복지정책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
◆  사회복지는 자본주의사회에서 부의 분배문제와 관련이 깊으며, 자본주의사회에서 가장 기본
적인 제도는 시장경제제도임
- 사회복지 이데올로기는 시장에 대한 입장이 다른 것을 기본으로 출발
- 자연히 사회복지 이데올로기 구분은 시장과 시장실패 그리고 이에 대한 국가의 태도가
무엇이냐와 밀접하게 관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