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과실제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77. 다문화상담 내담자의 정체성 이해

728x90
반응형

77. 다문화상담 내담자의 정체성 이해

1) 정체성의 복잡성


정체성(identity)-자신 내부에서 일관된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과 다른 사람과의 어떤 본질적
인 특성을 지속적으로 공유하는 것 모두를 의미한다(Erikson, 1956). 우리의 정체성은 복잡
하다. 여러 문화적 요인들이 뒤얽혀 있으며, 각 문화적 요인별로도 개인은 소수집단에 속하
기도 하고, 주류집단에 속하기도 한다.


2) 사례개념화에서 정체성의 의미


◆  내담자의 다양한 정체성을 인식해야 사례를 정확하게 개념화할 수 있다.
◆  상담자-내담자를 만날 때, 내담자에게 두드러진 문화적 특성에 따라 고정관념으로 바라볼
수 있다. 자기의 렌즈를 가지고 내담자를 만나면, 상담자의 추론과 가설은 실제 내담자의 모
습과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


3) 내담자의 정체성 이해하기


(1) 질문하기


◆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를 존중하는 마음이 분명해진 다음에는 정체성을 논의할 수도 있다.
내담자가 경험하는 갈등이 동료와 내담자의 문화 차이에 의한 것이거나, 내담자의 문화적 배
경이 직장에서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내담자의 문화적 정체성을 탐색해야 한다.


(2) 내담자에 대한 가설 세우기


◆  내담자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담자 본인에게 직접 질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담
자는 ADDRESSING 모델에서 제시한 여러 문화적인 요인들 중 지금 내담자가 가진 주제에
영향을 강하게 미치는 문화적 요인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다. 두드러진 정체성은 무엇
인지, 내담자는 주류 혹은 소수집단에 속하는지 자신의 눈에 보이는 정체성에 대해 자각하고
그 정체성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에 민감해야 한다.


(3) 가설을 질문으로 전환하기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들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설, 가정을 세우게 된다. 내담자를 통해 보충
된 정보로 그 가설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확인하는 검증 작업이 있어야 한다. 간접적 질문
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종교가 무엇입니까?’라고 직접적으로 묻기보다 ‘현재 종교생활은
어떤지’ 묻는 것이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고, 더 많은 정보를 얻게 한다(Olkin, 1999).

 

4)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호작용


(1) 내담자와 상호작용


◆  ADDRESSING 모델을 활용하여, 내담자를 잘 이해하기 위해 모델이 제시하는 각 문화적 요
인에 대한 내담자의 정보를 적고, 각 문화적 요인에 대한 상담자의 정보를 적어, 어떤 부분
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주류와 소수집단으로 분리되는지, 어떤 문화적 요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지, 특정 문화적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정체성이 명료하지만, 상담자는 그 문화에 대
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그 문화적 정체성이 내담자에게는 어떤 의미인지를 답하면서 부족한
정보가 내담자로부터 기술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전이를 넘어서


◆  전이는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느끼는 감정으로, 내담자의 삶 속에 있던 다른 경험에 상담자를
끼워 맞추는 것이다(정남운, 2007).
◆  다문화상담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 과거 및 현재 경험 속의 문화적 배경 차이에 대한 반응
으로 해석한다(Hays, 2008). 개인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상담에서 문화적 전이와
역전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