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집단상담자의 태도와 자질
1) 인간적 태도
▶ 집단상담자의 인간적 태도는 집단 전체의 분위기와 집단원의 성장 정도를 좌우할 만큼 큰
영향력을 가진다. 그가 가진 인간적인 따뜻함과 상담자로서의 전문적 기술을 통해 집단원의
성장을 돕는다.
2) 전문적 자질
▶ 집단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는 전문적인 역량 또한 갖추어야 한다. 좋은 상담자가 되
기 위해 체계적인 훈련, 지도 경험을 통해, 집단을 이끄는 데 필요한 전문적 기술을 습득하
여 집단상담 장면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1) 관심 기울이기
▶ 말하는 사람에게 전적으로 관심을 표명하면서 그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경청하는 자세
로, 시선을 부드럽게 마주치기, 몸짓과 표정으로 ‘나는 너의 이야기에 관심이 있어. 나는 너
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고 있고, 이야기의 참뜻을 이해하고 싶어.’라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간단한 말이나 동작으로 반응(고개 끄덕이기, ‘으응’ ‘그래’, 느낌 반영 등)을 보이는
것이다.
(2) 적극적 경청
▶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과 기분을 이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듣는 태도이다. 경청은 단순히
말의 내용 파악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몸짓, 표정과 음성에서 섬세한 변화를 알아차리고 그
바탕에 깔린 감정까지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3) 반영
▶ 집단원이 행동과 말로 표현한 기본적인 태도나 행동, 주요 감정을 다른 참신한 말로 바꾸어
말해 주는 것으로 느낌, 태도, 행동의 반영이 있을 수 있다.
▶ 반영할 때 주의점-집단원이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한 수준 이상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 지도자-반영을 통해 집단원으로 하여금 말 이면에 숨은 감정, 느낌을 볼 수 있도록 한다.
(4) 명료화
▶ 어떤 문제의 저변에 깔린 혼란스런 감정, 갈등을 가려내어 분명히 하는 것이다. 집단원의 실
제 반응에서 나타난 감정, 생각 속 암시, 내포된 관계나 의미를 분명하게 해 주는 것을 말한
다.
(5) 해석
▶ 집단원의 행동, 증상의 배후에 대한 설명으로 무의식적 동기, 갈등을 의식화할 수 있도록 돕
는 것이다. 집단원이 명확히 의식하지 못한 행동 간의 관계, 의미에 대해 가설 형태로 제시
된다. 집단원 자신은 모르고 있거나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명확한 모순에 대해 알게 하고 받
아들이게 하려는 상담 기법이다. 가능하면 집단원 자신이 스스로 해석하도록 돕는 것이 바람
직하다.
(6) 촉진하기
▶ 집단원이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집단원 간에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 지도자-안전하고 수용적인 집단 분위기를 형성하여 집단원이 적극적으로 집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7) 연결 짓기
▶ 한 사람이 행동하거나 말한 것을 다른 사람의 관심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집단상담자는 집
단원의 이야기를 서로 연결 짓는 방식으로 집단원 간 의사소통을 돕는다.
▶ 집단상담자-세심한 통찰력을 가지고 집단원을 보살펴야 하는데, 한 집단원이 사랑받지 못할
것이라는 감정을 말할 때는 그와 유사한 감정을 가진 다른 집단원을 파악하여 함께 참여시
켜 이야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8) 비생산적인 행동 제한
▶ 집단원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때 그 집단원의 인격 자체를 비난하거
나 공격하지 않으면서 그의 비생산적인 행동만을 제한한다.
▶ 제한되어야 할 행동-지나치게 질문만 계속하는 경우, 제3자가 이야기하듯 다른 집단원을 험
담하는 경우, 집단 외부의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는 경우, 다른 집단원의 사적 비밀을 캐내려
고 추궁하는 경우, 자기 문제를 마치 딴 사람의 책임인 것처럼 떠넘기는 경우, 다른 집단원
들이 지루하게끔 길게 횡설수설하는 경우 등이 있다.
(9) 피드백
▶ 타인의 행동에 대해 자신의 반응을 상호 간에 솔직하게 이야기해 주는 과정이다. 집단상담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집단원으로 하여금 타인이 자기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또 어떻게 반
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10) 자기 개방
▶ 지도자가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 경험, 느낌을 드러내는 것이다. 지도자의 자기개방-집단원
으로 하여금 자신이 다른 집단원과 다르지 않는 하나의 인간 존재라고 보고 더 깊이 있는
자기 탐색을 하게 만든다. 가능한 구체적인 말로 이루어져야 하며, 집단원의 느낌, 경험과
유사할 때 보다 효과적이다.
'상담이론과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76. ADDRESSING 모델 활용하기 (1) | 2024.02.27 |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75. 집단상담사례의 실습과 적용 (2) | 2024.02.26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73. 집단상담의 계획 및 장단점 (0) | 2024.02.22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72. 집단상담의 과정과 기법 (1) | 2024.02.21 |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71. 집단 상담의 형태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