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과실제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73. 집단상담의 계획 및 장단점

728x90
반응형

73. 집단상담의 계획 및 장단점

1) 집단원의 선정


집단원을 선정하기 위해 지도자는 먼저 집단원이 되기를 원하는 내담자들을 한 명씩 면담하
여 집단의 목표에 적합한지를 확인해야 한다.
♤  기본적인 기준-이 사람이 집단에 기여할 것인가, 혹은 그 반대일 것인가 하는 것이다. 지도
자는 성별 ∙ 연령 ∙ 성격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하게 고려
되어야 할 것은 응집성이다. 비록 집단원의 배경이 이질적이라도 응집될 수 있는 사람들을
선별하는 것이 좋다(Yalom, 1985). 연령과 사회 성숙도에서는 동질인 편이 좋으나 성별은
발달 수준에 따라 고려한다. 아동-남녀를 따로 모집, 청소년기 이상-남녀가 섞인 집단이 더
바람직하다.


2) 장소


♤  너무 크지 않으면서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는 물리적으로 편안한 곳이어야 한다. 이런 장소
는 친밀감 형성에도 도움이 된다. 집단원의 효과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모든 집단원이 서로
잘 볼 수 있고 서로의 이야기를 잘 들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원형으로 앉는 것이 효과적
이다.


3) 집단의 크기


♤  집단의 역동 및 집단상담의 효과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집단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절한가에 대해 학자에 따라 서로 다르나 일반적으로 6~12명 정도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집단원이 너무 많으면 각 집단원의 개인적인 문제를 제대로 탐색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며, 지도자가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을 따라가는 데 곤란을 겪게 된다. 반대로 인원
이 너무 적으면 내담자들의 상호관계나 행동의 범위가 좁아지고, 집단원 개개인에게 미치는
압력이 커져서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다.


4) 상담 시간 및 횟수


♤  내담자의 연령, 모임의 종류, 빈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주에 한 번 만나는 집단이라면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 지속되는 것이 좋으며, 2주에 한 번 만나는 집단이라면 2시간 정
도가 알맞다.
♤  청소년-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가 적당하지만, 아동-20~40분 정도가 적절하다. 일반적으
로 1회의 상담 시간은 준비 시간을 포함, 1시간 반~2시간을 잡는 것이 보통이다. 시간 간격
은 주 1회 내지 2회로 하는 것이 좋다.
♤  어떤 집단은 몇 해 동안 계속하기도 하나 1년 이상을 바람직하지 않다.
♤  학교-한 학기를 단위로 하는 것이 좋다. 집단상담의 전체 지속 횟수나 시간은 최소한 8~10
회 정도로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  집단의 구성은 개방적으로 하거나 폐쇄적으로 할 수 있다.
♤  폐쇄집단-집단을 시작할 때 참여한 사람들만으로 전 기간 동안 집단을 계속하고 새로운 구
성원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  개방집단-집단의 전 기간을 통해 아무 때나 새로운 구성원을 받아들인다. 이 경우 집단 내
의 신뢰, 수용, 지지 등에서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집단 응집력이 약해질 수 있다
(George & Cristiani, 1981).


6) 집단 경험 보고서


♤  집단상담의 매 회기가 끝날 때마다 집단원에게 그날의 집단 경험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다음 회기에 제출하게 하고, 그에 대해 지도자가 피드백을 해 주는 것이 집단의 발달과 개인
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