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미국의 인적자원개발제도 발전과정
1) 초기 견습생 제도(18세기)
(1) 의미
• 실력 있는 기능공이 자기 가게에서 견습생을 몇 년 동안 능숙해질 때까지 기능, 기술을 가
르치는 미국 초기 훈련 제도
(2) 특징
• 필요한 기능, 기술을 익힌 견습생은 자영업자(Yeoman)가 되어 가게 설립이 가능했음
• 가게 주인은 늘어나는 자영업자들에 대비
- 수공업길드, 프렌차이즈(Franchise)를 만들어 관리
• 강력한 수공업 길드 견제하는 독립된 형태의 길드 ‘여만리스(Yeomanries)’ 형성
- 임금과 근무환경 등 단체권 창출
- 현대 노동조합의 시조
2) 초기 직업교육 프로그램
(1) 개요
• 수공업학교(Manual School) 설립
- 뉴욕에 최초의 개인재단 직업학교(1809년 클린턴)
• 수공업학교 설립 목적
- 실업자나 전과기록이 있는 청년들에게 기술을 가르침
• 초기 직업교육 프로그램
-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현대적 직업교육의 원조가 됨
• 1917년 연방의회
- ‘스미스 - 휴즈법’ 제정
- 주정부 프로그램에 국가보조금 700만 불 지급 농업, 가정관리교육, 산업교육, 교사 연
수를 목표로 함
• 현재 ‘기술적 능력의 격차’ 문제 대두
- 직업교육의 중요성 부각되고 있음
3) 초기 공장학교(Factory School)
(1) 개요
• 1800년대 후반, 산업혁명으로 인해 공장은 기계와 반숙련공으로 숙련공 보다 더 생산량 증
가(기능공들의 연장은 기계로 대체)
• 급성장 하는 공장들의 엔지니어, 기계 수리공 등 숙련공의 수요가 직업학교의 공급초과
• 이러한 수요 충족을 위해 공장들은 수리공, 정비사 훈련을 위한 공장학교 설립
• 최초 공장학교
- 1872년 뉴욕 인쇄기 제조회사
• 공장학교 훈련 프로그램의 특징
- 단기간 훈련과정
- 특정 직무에 초점을 맞춤
4) 숙련훈련 및 직무훈련
(1) 개요
• 20세기 초
- 소수 회사만이 비숙련(unskill) 또는 반숙련(semiskilled) 근로자들을 위한 훈련 프로그
램 제공
• 1923년
- 포드사 T모델의 등장(포디즘: Fordism)
‣ 조립라인에 대량 생산된 첫 번째 자동차
‣ 생산비용 대폭감소
‣ T모델의 수요 급증에 따라 반숙련 근로자들의 훈련기회 증가
• 제1차 세계대전
- 군수품 수요 증가에 따라 공장들이 기계설비 재정비
- 근로자 재훈련 실시
• U. S. 선박협회 4단계 학습방법 실시
- 시범(show) ⇨ 설명(tell) ⇨ 실습(do) ⇨ 확인(check)
5) 인간관계훈련(Human Relations Movement)
(1) 개요
• 공장의 비숙련공 혹사, 열악한 작업환경, 저임금, 긴 노동시간, 비위생적인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공장반대운동’ 캠페인 전국 확산
• 폴렛과 길브렛
- ‘공장반대운동’ 캠페인 전국 확산
‣ 공장 비숙련공 혹사, 열악한 작업환경, 저임금 등 원인
‣ 인간관계운동으로 확산
‣ 인간적 근무환경 주장
• 버나드
-조직은 전통적인 관리와 행동과학이 통합된 사회적 구조
• 매슬로우
- 욕구계층이론
‣ 인간은 비경제적인 격려에도 동기부여 됨
• 인간관계이론
- 근로자의 다양한 욕구와 열정이 직장에서 동기부여의 중요한 근원이 될 수 있음
6) 훈련전문직 등장(Training Profession)
(1) 개요
• 제2차 세계대전
- 사업 분야는 전쟁지원을 위해 공장 기계 재 설비하였음
‣ 새로운 훈련 프로그램 도입
- 연방정부는 산업훈련(TWI: training within industry) 과정 도입
‣ 군수품 관련 TWI 프로그램 구성 및 사내 강사 양성
‣ TWI 과정 훈련을 받은 강사들에게 수료증 수여
‣ 강사들은 신흥직업인 ‘훈련전문직’으로 등장
- 군수품 제조회사들은 독립적인 훈련부서 설립
‣ 훈련부서는 사내 훈련의 설계, 구성, 조정 역할
• 1942년
- 미국훈련담당자협회(ASTD :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Directors) 설립
‣ 정회원 자격은 학사학위에 2년 훈련분야 직무경력, 5년 이상 훈련경력
‣ 준회원 자격은 훈련기능이 있는 직무를 하거나, 대학 재학 중
7) 인적자원개발(HRD)의 출현
(1) 개요
• 1960~1970년대
- 훈련 전문직의 역할이 훈련원 밖의 기업현장으로 확대
- 훈련 및 개발의 범위 대인관계기법(지도, 그룹 프로세스의 단축, 문제해결 등)으로 확대
- 국훈련담당자협회(ASTD: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Directors)는 명칭을 미국훈
련개발협회(ASTD: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로 개명함
•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
- ASTD에서 기업의 훈련전문직 역할 확대가 주된 논점
• 1989년
- 성장과 변화를 포함한 용어로 ‘인적자원개발(HRD)’ 채택
• 1990년대 ASTD의 중점
- HRD의 전략적 역할 강화
'인력개발과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자원관리, 인사관련 등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8. 인적자원개발 관련 법·제도의 변천 (0) | 2024.07.10 |
---|---|
경영학, 자원관리, 인사관련 등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7.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의 개요 (0) | 2024.07.09 |
경영학, 자원관리, 인사관련 등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5. 유럽의 인적자원개발제도 발전과정 (1) | 2024.07.07 |
경영학, 자원관리, 인사관련 등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4. 인적자원개발의 구성요소 (0) | 2024.06.29 |
경영학, 자원관리, 인사관련 등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 인적자원관리와 인적자원개발과의 관계 (0)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