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과 감기 비슷해서 많은 분들이 감기가 심해지면 독감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감기와 독감은 서로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엄연히 다른 질환입니다.
그러므로 독감 예방접종을 받았어도 당연히 감기에 걸릴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감기는 독감이라고 부르는 인플루엔자와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오늘의 건강’에서는 추워진 날씨만큼 걸리기 쉬운 감기에 대해 샅샅이 파헤쳐보려 합니다.
감기란?

보통 코, 인후부, 부비동, 기관, 기관지, 폐와 같은 호흡기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면서 일어나는 급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많이 발생하는데요.
현재까지 감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RS바이러스(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등 약 200여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코감기, 목감기 혹은 몸살감기가 발생하는데, 바이러스의 종류와 자극을 받은 점막의 위치에 따라 그 증상이 달라집니다. 염증이 코의 점막에서 생기면 코감기이고, 목의 점막에서 생기면 목감기인 것이죠.
일반 사람들이 흔히 ‘독한 감기’라고 생각하는 유행성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어 발생하는데요. 감기에 비해 증상이 심하거나 노인과 어린이, 면역이 떨어진 만성질환자의 경우에는 자칫 세균성 폐렴 등 합병증을 유발해 생명까지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감기의 종류

1. 코감기
코감기는 리노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가장 흔한 감기입니다. 증상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콧물이 나고, 코가 간지러우면서 재채기가 자주 나며, 코막힘, 두통, 미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목감기
목감기는 주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감기로 목 안쪽의 인두에 염증을 일으켜서 목 안이 충혈되고, 목이 붓고 아프며, 간질간질합니다. 심한 경우 목이 잠겨서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을 정도로 쉬게 되고 때로는 눈곱도 낄 수 있습니다.
목감기에 걸릴 때 몸살감기의 증상도 흔히 나타나는데요. 섭씨 약 38도의 열이 나고, 두통이 있고, 관절통이 있고, 피로하고, 기운이 없고 온몸과 팔다리가 쑤시고 아픈 증상이 이에 속합니다.
3. 기타
그 외에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급성 후두염을 잘 일으켜서 목이 쉬고, 개가 짖는 듯한 컹컹하는 기침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RS바이러스는 폐의 작은 기관지에 급성 모세기관지염을 일으켜서 주로 밤잠을 못 잘 정도로 심한 기침과 많은 양의 가래를 뱉는 증상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호흡곤란까지 일으킵니다.
감기, 주사로 치료해야 잘 낫는다?

감기의 원인은 바이러스인데, 감기바이러스를 죽이는 약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만큼 감기에는 특효약이 없습니다.
감기로 병원을 찾았을 때 처방받는 약들은 증상을 좋게 하는 약에 불과한데요. 즉 콧물이 나지 않게 하거나 두통을 가라앉게 하거나, 가래를 삭히는 약입니다. 그리고 증상을 좋게 한다고 해서 감기가 낫는 것도 아닙니다. 감기는 인체의 저항력에 의해서 감기바이러스를 이겨낸 후에야 좋아지기 때문이죠. 감기에 걸리면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서 적절한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고, 증상이 심하면 증상을 줄여주는 약을 복용하면 됩니다.
의사가 주사약을 사용하는 경우는 먹는 약을 쓸 수 없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주사를 맞아야 감기가 빨리 낫는다’. ‘안 낫는 감기는 주사를 맞아야 듣는다’ 등은 잘못 알려진 상식입니다.
감기 예방법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서 생활의 리듬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과로나 과음, 흡연 등을 피하고 균형 있는 식사를 통해 컨디션을 잘 조절하는 게 좋습니다.
감기가 유행할 때는 되도록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해야 합니다. 감기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외출했다가 돌아오면 항상 얼굴과 손발을 씻고, 양치질을 하는 것이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이 외에도 환절기나 일교차가 심할 때는 춥지 않도록 옷에 신경 쓰고 잠자리가 춥지 않도록 방안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합니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이 많이 걸리는 갑상선암~ 과연 착한암일까요? 갑상선암의 특징과 주요 증상을 소개드립니다~ (0) | 2022.01.25 |
---|---|
부모님은 필독해야 할 질병관리청에서 공개한 어린이 중독사고의 종류와 예방법을 소개드립니다~ (0) | 2022.01.07 |
무서운 질병 에이즈! 에이즈에 관한 오해부터 예방법까지 알기쉽게 소개드려요~ (0) | 2021.12.30 |
겨울철에 더욱 주의해야 하는 협심증의 원인과 증상부터 예방법까지 알기쉽게 소개드려요~ (0) | 2021.12.20 |
스트레스 받는 현대인이 많이 걸리는 대장암! 대장암과 관련된 질병 정보의 대부분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0) | 202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