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자격증 요약 정리

농진청, 농업직 공무원, 연구사, 지도사 등 시험용 토양학 핵심 포인트 정리

728x90
반응형

토양학 핵심 요점 정리

토양의 3상
토양은 일반적으로 고상 50%(유기물 5%, 무기물 45%), 물 25%, 공기 25%로 구성
식물 뿌리의 신장, 뿌리에 대한 수분/산소 공급, 식물의 생육을 지배

토양의 역할
지각의 가장 윗부분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물질로서 풍화 산물인 작은 무기 성분 입자와 동식물에서 유래한 유기물 및 이들 교체 입자들 사이에 채워진 공기 또는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물을 기계적으로 지지, 수분과 양분을 저장/공급하여 주는 자연체

풍화작용
화학적 풍화 : 산화, 환원, 가수분해, 탄산화 작용, 수화 작용, 킬레이트화, 용해
암석은 환원 조건에서 형성, 공기와 접촉 시 대기 중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풍화됨
물의 해리 수소이온과 수산기 이온은 유력한 가수분해제가 된다.
물리적 풍화 :
생물학적 풍화
미생물, 식물의 호흡에 의해서 생성된 CO2는 물과 반응하여 산을 생성
미생물 및 식물의 뿌리는 유기산(citric acid, oxalic acid, gluconic acid 등)을 생성
Hydration(수화작용)은 화학적인 풍화작용으로서 단순히 물이 어떤 물질에 결합된 것

토양의 분류
USDA법에 의한 분류
자갈 : 2mm이상, 식물 양분의 흡착과는 아무 관계 없음.
모래 : 0.05~2mm
모래는 토양의 골격형성을 돕고, 입자간 공극을 크게 하여 통기, 배수를 좋게 함. 점착성, 응집성이 없다.
토양의 CEC(Cation Exchange Capacity)
양이온 치환 용량 : 토양 1kg이 양이온을 흡착할 수 있는 총량을 cmolc로 나타냄(?)
토양이나 교질물 100g이 보유하는 치환성양이온의 총량을 mg당량으로 나타냄. 즉 양이온 치환 용량은 토양이나 교질물 100g이 보유하는 음전하의 수와 같다.
암석의 생성과정
화성암 : 화강암, 섬록암, 휘록암, 반려암, 석영조면암, 현무암, 안산암
퇴적암 : 사암, 혈암, 석회암
변성암 : 편마암, 편암, 점판암, 천매암
토양의 비열
토양 1g을 1℃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물과 비교
토양의 토성
토양은 크기가 다른 입자들의 집합체
모래, 미사, 점토 등 크기에 따른 무기질입자의 함유비율에 의해 토성을 분리
토양 구조
판상
입단의 배열은 얇은 판자 상 또는 렌즈 상
습윤지대 토양의 A층에서 발달, 논의 작토 밑에서 볼 수 있음
물이 하층으로 이동하기 어렵다.

초기 위조점, 영구 위조점
초기 위조점 : 식물이 시들기 시작 (일시 위조점이라고도 함), 흡착력은 10bar정도
영구 위조점 : 시든 식물을 다시 포화습도의 공기 중에 두어도 회복되지 않는 수분량, 흡착력은 15bar정도.
1bar = pF 3 = 1,000cm 수주높이, 10bar = pF 4 = 10,000cm 수주높이, 10000bar = 7pF
탄질률(탄질비)
유기물 중의 탄소와 질소의 함량비
유기물의 분해는 탄소와 질소의 함량에 따라 크게 달라짐
질소 기아 현상
탄질비가 크면 미생물의 에너지원은 풍부하나, 영양원으로서의 질소가 부족하므로 미생물은 일정한 탄질비에 도달하기 위해 토양 속에 있는 무기태 질소까지도 동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식물은 질소가 부족하게 된다.

부식의 효과
미생물의 활성 증가
아주 미량이지만 없어선 안될 제한 인자나 식물성장촉진을 공급
양이온치환능력(CEC) 증가
pH의 변화에 완충 작용
부식이 분해되면서 질소, 인산, 황 등을 미생물과 식물에 공급
Al3+, Cu2+, Pb2+, chelate화합물을 형성하여 독성을 감소
부식 분해시 생성된 유기산, 무기산은 불용화된 양분을 가용화 시킴
강한 흡착력으로 외부의 독성물질과 결합하여 토양의 독성을 경감
토양유기물은 토양을 입단화 시킴
유기물은 가밀도를 낮혀 토양공극을 증가시킴 → 통기성과 배수성 향상
보수력 증가
상당부분 검은색으로 빛을 흡수하여 지온 상승
활산성이란?
확산 2중층 내부의 수소이온의 배열은 교질입자의 표면에는 밀도가 높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져서 토양 용액 중의 유리수소이온의 농도와 평형을 이룸. 토양의 pH측정은 주로 유리 수소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결과이며 따라서 pH값은 활성유리수소이온의 농도를 나타내는 값이고 이를 활산성이라 한다.
토양 오염의 원인
지하자원의 이용으로 암석 중의 무기성분이 지표에 쌓임
농약에 의한 합성 유기염소계 화합물 EM는 알킬수은화합물 등의 천연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유기물의 축적, 공업단지와 도시매연가스에 의한 산성비, 식품포장 폐기물, 시설 축산의 폐기물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토양의 특성
식토 : 점토분이 많아 보수 및 보비력은 크나 통기성이 약함
사토 : 모래분이 많아 보수 및 보비력은 작고 통기성은 큼
토양의 입단구조 형성
양이온의 작용
용액 중의 양이온과 점토입자 표면의 음전하 사이에 물분자가 연쇄를 만들어 결합 후 물이 증발하면 두 점토 입자 사이의 물분자 감소하여 연쇄 길이가 짧아여 입단 형성. 하지만 수화도가 큰 Na는 오히려 입단 파괴
양이온의 입단화 작용의 크기
수화도가 큰 이온은 입단화 작용이 약하고, 수화도가 작은 이온은 입단화 작용이 강함
따라서, Na 이온 등은 입단화 작용이 약하고, Ca이온은 입단화 작용이 강해서 토양을 결합
유기물의 작용
유기물의 무기화에 관연하는 토양 미생물의 균사나 세균이 분비한 점성 물질 또는 미숙 유기물 등이 접착제로서 토양 입자를 입단화
토양 생물의 작용
균류의 균사에 의한 직접적인 결합
미생물이 분비하는 폴리우로니드 등의 접착작용
퇴비는 직접적이기보다는 미생물의 생육 증진을 통해 입단화를 도움
식물 뿌리의 작용
수분을 흡수하여 토양 수축, 근모의 결합 작용 또는 뿌리가 죽음으로써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입단 형성
토양 개량제의 작용
고분자 유기 화합물은 토양의 입단화, 통기성, 배수성, 보수성, 표층 피각 형성 방지 및 경운의 용이성에 효과가 있다.

포장 용수량
토양의 수분함량이 포장용수량 일 때 큰 공극의 물이 빠져 뿌리의 호흡은 좋게 하면서 소공극에서는 식물이 이용할 물이 있으므로 식물 생육에 좋다.
증산률(증산계수)
식물의 건물 1g의 생산에 필요한 증산량(g)의 값을 증산률이라 하며, 대략 200~1,000 정도 혹은 그 이상에 이르기도 한다.
토양 미생물의 작물에 대한 유익작용
Symbioses
Aggregation
Nitrogen Fixation
퇴비의 유익한 점
탄소 이외의 양분용탈 없이 좁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보관 가능
유기물이 분해되는 동안 30~50%의 CO2가 방출되므로 부피를 줄여 취급에 용이
보통 유기물은 탄질율이 30을 훨씬 넘어 토양에 바로 들어가면 질소 기아를 야기 시키나, 퇴비화 과정 중 날아간 CO2 때문에 토양에 들어가도 질소 기아를 일으키지 않음
퇴비는 탄질률이 낮으므로 쉽게 질소를 토양에 내놓으므로 탄질율이 높은 유기물의 분해를 도움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고열은 잡초의 씨앗 및 병원성 미생물을 죽임
퇴비화 과정 중 농약이나 식물 독성물이 분해됨
퇴비화 과정에서 활성화 된 어떤 미생물은 antagonism을 하여 토양 병원균의 활성을 억제
토양 유기물
토양 유기물의 효과
온실효과를 감소시키며 토양의 질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여준다.
유지 방법
유기물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 식물 유체를 제거하지 말고 동물의 분뇨, 퇴비 등을 토양에 첨가
토양 표면은 식물, 특히 녹비 작물로 덮혀 있어야 함. 이는 토양 침식을 막고, 식물의 유체를 토양에 공급
토양의 경운은 산소의 공급을 통해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므로 줄여야 한다.
밭 토양은 논에 비해 산소의 유통이 원활하므로 보다 많은 유기물을 투입해야 함
광물의 특징
kaolinite : 1:1격자형 광물로 규산판 1개와 알루미나판 1개가 결합하여 한 단위를 이룸
토양 pH와 양분의 용해도
pH가 중성에서 용해도 커지는 것 : 대부분
pH가 중성에서 감소하는 것 : 철, 망간, 구리, 아연, 붕소 등 미량원소
산성토양 예방
화학비료의 적절한 시용
대기오염방지
작물잔재를 토양에 환원시켜줌
황을 첨가하면 황이 산화되어 H2SO4가 되어 토양이 산성화 되므로 첨가하면 안 된다.
논 토양의 객토 이유
작토층의 확대, 철분의 공급, 미량 요소의 공급
노후화 현상
사력질의 누수답에서 심하다.
산의 붉은 흙, 못자리의 바닥 흙 등을 객토 : 양질의 점토, 철분, 규산, 마그네슘, 망간 등의 함량이 풍부하며 10a당 10~20ton을 객토한다.
우리나타 밭 토양의 특성
경사지가 많다.
세립질과 역질토양이 많다.
저위생산성인 토양이 많다.
양이온 치환용량은 10cmolc/kg정도로 낮은 편이며 15~20cmolc/kg정도가 되어야 한다.
등고선 재배법
경사지 밭 토양에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재배법
유거수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밭 토양에서는 등고선에 따라 경사면에 이랑을 만들어 작물 재배
BB비료
BB비료는?
지역별, 이동별 토양을 정밀 분석하여 비료를 농작물에 알맞게 농가의 주문대로 공급해주는 입상배합비료
BB비료의 필요성
토양분석에 의한 적정시비로 비료절감, 토양환경보전, 지력개선, 흙살리기 운동을 실천
토양별, 작물별로 꼭 필요한 비료를 써서 농산물의 품질과 수량을 높이고 비료대 절감
비료성분의 토양 과다집적을 막을 수 있는 환경보전형 비료
하천 토양의 종류
홍암지 : 하천의 홍수에 의하여 거듭 범람했을 때 퇴적, 생성된 토양, 1회의 범람으로 수직단면의 층리를 형성하는 것
삼각주 : 하천이 바다에 이르는 곳. 즉 강어귀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땅
붕적토 : 풍화물이 중력으로 경사지에서 미끄러져 이루어진 토양
선상퇴토 : 큰 비로 말미암아 경사가 심한 산간 골짜기로부터 평지 또는 하천으로 밀려 내려온 모래, 자갈, 암석조각 등이 부채꼴 모양을 이룬 토양
규산염 광물(silicate minerals)
백운모, 흑운모, 녹렴석, 감람석, 풍신자광, 각섬석, 휘석, 정장석, 조장석, 회장석, 사장석 등
석영은 산화물(Oxides)
소성계수의 크기
점토의 종류가 같은 경우(점토 함량이 같은 경우) 소성계수는
montmorillonite > illite > halloysite > kaolinite > 가수 halloysite 순이다.
토양 온도의 상태 구분
토양 온도에 따른 분포

토양 온도의
상태
근권(5~100cm)의
연평균 온도(℃)
특 징
pergelic <0 영구적으로 땅이 동결.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및 북부 록키산맥의 고지대에 분포
crylic 0~8 미국과 남캐나다의 대초원지대 및 동부캐나다와 뉴잉글랜드의 산림 지대에 분포
mesic 8~15 미국 중서부와 대초원지대
thermic 15~22 미국 동남부 해안평지와 캘리포니아의 중부협곡
hyperthermic >22 플로리다 반도의 감귤재배지대, 저 구릉지 및 남부 캘리포니아

토양 수분의 종류
중력수(유리수)
물이 많게 되면 모세관을 채우고 남은 물은 큰 공극으로 옮겨져 중력에 의해 흘러 내리며, 이를 중력수 또는 유리수라고 한다. 이 물은 입자 사이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흡착력은 1/3bar정도이다.
모세관수
작은 공극 내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유지되는 수분,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지하수가 모관 공극을 따라 상승하여 공급된다.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유효한 수분. 흡착력은 1/3~31bar정도
흡습수
토양이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토양 알갱이 표면에 응축시킨 수분. 31bar(pF 4.5)이상의 힘으로 흡착되어 식물이 이용할 수 없다.
결정수(결합수)
토양 중의 화합물의 한 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토양을 100~110℃로 가열해도 분리되지 않는다. 10,000bar(pf 7)이상인 수분으로 식물에 흡수 안 되며, 화합물의 성질에 영향을 준다.
토양의 수분상태

상태 설 명
aridic 가장 건조한 상태로 관개하지 않고서는 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토양이다.
ustic 라틴어로 ustis(burnt, dryness)를 가리키며 건조한 토양을 말하고, aridic과 udic상태의 중간
udic 라틴어로 udus(humid)를 가리키며 습윤한 토양을 말한다.
aquatic 라틴어로 aqua(water)를 가리키며 습윤한 토양이나 또는 수분으로 포화되어 있는 토양
xeric 그리스어의 xeros(dry)에서 유래되었으며 겨울철에는 기온이 서늘하고 습윤하며 여름철에는 덥고 건조함을 뜻한다.

현지 토양 수분 측정법
Tensiometer법
포장 용수량 이상의 수분인 경우에 이용된다. 토양 수분에 의해서 질그릇 관을 통하여 관내의 물에 걸려오는 부압이 달라지므로 이것이 수은주에 나타난다.
석고블럭법
석고블럭을 토양중에 묻어 그 주위의 토양과 밀착시켜 평행이 되게 한 후 그 블록의 수분의 전기전도도, 열전도도 등으로부터 측정하여 이것과 평형 상태에 있는 주위의 토양수분을 구한다.
중성자법
중성자는 물질을 뚫고 들어갈 때 수소 원자와 충돌하면 속도가 줄어든다. 토양중의 수소원자는 주로 토양수 중에 있으며 토양유기물 또는 광물 중에 있는 수소원자는 토양수중에 있는 수소원자에 비해 매우 적으므로 경시적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중성자의 감속양상을 측정하여 수분량을 구할 수 있다.
Darcy의 법칙
토층을 통과하는 수량은 단면적, 시간, 수두에 비례, 토양주의 길이에 반비례
토양중 이산화탄소
상대적으로 산소의 농도가 낮아져 혐기성 상태가 되어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증가
메탄 등이 생성, 식물 생육에 지장 초래


토양이 환원되면
H2S, 메탄가스, 수소 등이 발생
토양 세균(bacteria)에 의해 질산이 생성되는 과정
제1단계 : NH3 + 1.5O2 → (nitrosomonas, nitrosococcus 등, 암모니아 산화균) → HNO2 + H2O
제2단계 : HNO2 + 0.5O2 → (nitrobacter, nitrospira 등, 아질산 산화균) → HNO3
미생물 분류

  탄소, 에너지, 전자원 대표적인 미생물
Chemoorgano heterotrophs -탄소원 : 유기물 또는 무기물
-에너지원 : 유기물
-전자원 : 유기물
Saprophytic Bacteria
Most Symbiotic Bacteria
Photolitho autotrophs -탄소원 : CO2
-에너지원 : 빛
-전자원 : 무기물
Green Bacteria
Purple Bacteria
Chemolitho autotrophs -탄소원 : CO2
-에너지원 : 무기물
-전자원 : 무기물
Nitrifying Bacteria
Sulfur oxidizing Bacteria
Hydrogen-oxidizing Bacteria

사상균(Mycorrhizae)
식물뿌리에 감염하여 공생함으로써 특수한 뿌리의 형태가 형성된다.
고등 식물에 미치는 유익작용
뿌리의 유효면적 증가
물과 양분의 흡수를 돕는다.(특히 인산)
내건성이 증대된다.
병원균의 감염을 막아준다.
토양입단을 형성한다.
지렁이 활성에 미치는 토양의 환경요인
공기가 잘 통한 습한 지역. 하지만 과습하면 개체 수 감소
신선하거나 거의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의 사용은 개체수 증가. 수확후 유기물을 남겨둔다.
약산성(pH5.5)에서 약알칼리(pH8.5)의 토양에서 개체수 많다. 지렁이는 Ca을 좋아함.
약 10℃의 토양온도가 생육에 적당하므로 봄, 가을에 번성.
두더지, 생쥐, 진드기 등의 포식자는 개체수를 감소시킴
암모니아태 질소(NH4+-N)은 개체수를 감소시킴
농약의 과다한 사용. 살충제인 카바메이트(carbamate)계 농약은 개체수를 감소.
경작지의 잦은 경운. 특히 트랙터에 의한 경운은 개체수 감소
토양 미생물이 고등식물에 미치는 영향
유익작용
비질소유기물의 분해변화
암모니아화성 작용
질산화작용
유리질소의 고정
가용성무기성분의 동화
미생물에 의한 무기성분의 변화
미생물간의 길항작용
입단의 생성
생장촉진물질
유해작용
식물에 해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많다.
질소염의 환원과 탈질작용
황산염의 환원
고등식물과 미생물간의 양분경쟁
균근(mycorrhizae)
내생균근은 균사가 뿌리를 칩입하여 세포내와 세포 사이에 분지를 형성
외생균근의 균사는 외투를 형성
외생균근은 수목의 뿌리와 주로 공생
내생균근은 arbuscules와 vesicles를 형성
식물체 성분의 분해
분해용이 : 탄수화물 중 전분, 당류 등.
분해저항 : 셀룰로우스, 리그닌 등. 리그닌이 가장 분해 안됨
부식산/ 훌부산/ 부식회
부식산(Humic acid)은 알칼리(NaOH)에는 용해되나 산(pH1~2)에는 침전되는 물질로 무정형이며, 분자량의 80%가 100,000g/mol이상이다. 부식산은 탄소 50~60%, 산소 30~35%, 수소 3~5%, 질소 1.5~6%, 황 1%, 인산 0.3%로 구성되어 있다. 양이온 치환용량이 200~600 cmolc/kg정도다.
훌부산(Fulvic acid)은 알칼리(NaOH) 용액으로 추출한 후 pH1~2로 산성화시켰을 때 침전되지 않고 용액에 남아 있는 물질로 무정형. 분자량의 80%가 1,000g/mol 이하. 부식은 대략 탄소 49%, 산소 45%, 수소 5%, 질소 2%, 황 2%, 인산 0.3%로 구성되어 있다.
부식회(Humin)는 토양을 알칼리(NaOH) 용액으로 추출되지 않고 남아 있는 화합물이다.
반육성 부식
대표적인 것은 이탄
이탄은 침적이탄, 섬유질이탄, 목질이탄으로 나뉜다.
습지, 늪 등에서 수생식물, 소태류 등이 다소 부식화되어 쌓인 것으로 원식물의 조직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토양 콜로이드
지름은 1㎛보다 적으며, 표면적은 약 800㎡/g이고, 대부분은 음전하를 갖고 있다.
산성 토양의 해
수소 이온의 해작용
토양 용액 중에 수소 이온 농도가 높으면 작물 뿌리로부터의 양분 흡수력이 약해진다.
수소 이온은 작물 뿌리로 침입하여 단백질을 응고 또는 용해하여 효소 작용을 방해하고, 세포의 투과성을 증대시켜 다량의 염류가 투과하여 작물 생육을 방해
알루미늄의 해작용
토양이 산성으로 되면 토양 중 알루미늄이 용출되어 광독 작용
활성 알루미늄은 인산을 고정하여 작물이 이용할 수 없는 불가급태 인산으로 만들기 때문에 인산 결핍을 초래. 따라서 토양을 pH 6.5부근으로 하여 인산의 유효도 증진과 활성 알루미늄의 해작용을 억제해야 함
작물 양분의 결핍
산성 토양은 칼슘, 마그네슘 등의 염기가 유실, 용탈 되었고 또한 미량 요소의 용탈도 크므로, 작물 양분의 부족을 일으키기 쉬우며, 몰리브덴은 산성 토양에서 용해도가 감소하여 결핍되기 쉽다.
미생물의 활동 저하
산성 토양에서는 세균 특히 공중 질소를 고정하는 Azorobacter, Clostridium, 근류균 및 질산화성균의 생육 저해
토양구조의 악화
산성 토양에서는 칼슘이 부족하고 토양 미생물의 활동이 저해되어 유기물 분해가 불량. 토양 입단 형성 안됨
유해 이온의 증가
구리, 아연, 납 등의 중금속 물질이 토양에 집적되면 광독작용, 특히 망간은 과잉 시 밭 작물에 해.
양이온 침출 순위
Na+ > K+ ≥ NH4+ > Mg2+ > Ca2+ > H+
염류 집적토양의 분류

Name ECe(dS/m) ESP SAR pH
Normal soils <4.0 <15 <13 <8.5
Saline soils >4.0 <15 <13 <8.5
Sodic soils <4.0 >15 >13 >8.5
Saline-sodic soils >4.0 >15 >13 <8.5

토양분류체계
토양 분류 쳬계는 아래와 같이 6개로 구분되며 1938년에 분류 단위로 사용되던 구(type)와 상(phase)은 현재의 분류단위에서 제외되고, 다만 토양관리에 의한 구분에 속하고 있다.

구분 설 명
목(order) 토양 층위의 발달에 따른 토양 특성에 근거를 둔 고차 분류단위로 12개로 구분
아목(sub-order) 생화학적으로 보아 동질성을 띠는 토양의 특성에 따라 목으로부터 세분화 된 것
대군(great group) 특징적 층위에 존재 여부와 그 배열에 따라서 구분
아군(sub-group) 대군을 세분화. 식물 생육에 관계되는 토양의 여러 성질에 따라 아군에서 계로 분류
계(family) 토성, 광물, 점토 광물, 반응, 토양 온도 등에 따라 분류
통(series) 유사한 페돈(pedon)을 모아서 하나의 분류 단위로 한 것

토양 단면 구분

구분 설 명
A층 성토층의 가장 윗부분. 기후, 식생 등의 영향을 직접 받아 가용성염기류가 용탈되며, 경우에 따라 점토, 부식등과 같은 물질도 아래층으로 이동. 용탈층이라고도 한다.
E층 A층을 세분화 시킨 A2층을 말하며, 점토와 철, 알루미늄 등의 산화물, 또는 염기 등이 아래 층으로 용탈되어 담색을 나타낸다. A층의 용탈이 이곳에서 이루어짐
B층 점토, 철, 알루미늄, 부식 등이 집적되고 구조가 어느 정도 뚜렷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빛깔이 다른 층위보다 진함. 집적층
C층 무기물층. 아직 토양생성작용을 받지 않은 모재의 층

토양 생성 작용

구분 설 명
podzol화 작용 토양의 무기성분이 산성부식질의 영향으로 심하게 분쇄되어 역동성이 가장 작은 Polynovdml 제4상에 해당하는 철, 알루미늄 등까지도 솔(sol)상태로 하층으로 이동하는 토양생성과정
latetite화 작용 열대나 아열대의 고온 다우 하에서 일어나는 토양생성작용으로 고온다습의 영향으로 토양은 가수분해가 심하게 일어나므로 토양중의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토류금속은 용액 중에 끊임없이 공급되어 토양은 중성 또는 알칼리성 반응 하에서 분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규산은 가용성으로 되어 용탈되고 철, 알루미늄 등의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은 토양 중에 남아 집적되게 된다.
석회화 작용 우량이 적은 건조~반건조 기후 하에서 진행되는 토양생성작용. 석회화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 토양은 석회로 포화된 중성부식과 무기질의 토양이므로 매우 비옥하고 B층은 없고, A층과 C층으로 되어 있다.
siallite화 작용 점토화 작용을 뜻하며 2차적인 점토광물의 생성작용, 즉 토양물질의 점토화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는 충분한 수분과 적어도 물이 얼지 않는 정도의 온도가 필요하다.

토양 분류

구분 어원 설 명
Entisol recent 미숙 또는 발달하지 않은 토양으로 ochric표층보다 발달이 안된 토양이며 모든 기후에서 생성된다.
Vertisol verto grumusol과 같으며 팽창성 점토를 가지며 건습이 교호되는 아열대 또는 열대기후에서 생성된다.
Inceptisol inceptum 약간 발달된 토양으로 특히 cambic, ochric, umbric, plaggen 표층이 발달한다. 온대 도는 열대습윤기후에서 생성된다.
Ardisol aridus 건조지 토양으로 어느정도 발달되었으며 특히 ochric표층, calcic, gypsic, salic, cambic층이 발달되었으며 때로는 argillic층과 natric층도 발달된다. 건조지대에서 생성된다.
Moliisol mollis mollic 표층을 갖는 토양으로 주로 반건, 반습의 초원에서 생성된다. mollic 표층이 있고 때로는 cambic, argillic, natric, calcic층이 발달됨
Spodosol spodos podzol을 뜻하며 사질인 모재, 주로 냉온대의 습윤기후에서 생성되고 spodic층이 발달됨
Alfisol pedalfer 즉 회갈색 podzol을 뜻하며 습윤온대 또는 아열대기후에서 생성된다. argillic층 염기포화도가 35%이상이고, ochric 표층 또는 umbric 표층이 발달되었다.
Ultisol ultimus 염기 포화도가 35%이하인 argillic층이 발달되고 ochric 표층 또는 umbric표층이 발달되었으며 온난습윤, 열대, 아열대에서 생성
Oxisol oxide 산화층으로 주로 습윤열대에서 생성된다.
Histisol histos 흑니를 뜻하며 유기물이 매우 많은 토양이다. 담수상태 또는 산성조건에서 발달

성대성 / 간대성 토양
성대성 토양 : 기후와 식생(생물)의 영향을 받아 생성된 토양
툰두라, 사막토, 적색사막토, 초원회백토, 갈색토, 적갈색토, 율색토, 적색 율색토, 흑토, prairie, 적색prairie, 퇴화 chemozem, 비석회 질갈색토, podzol, 회색 podzol, 갈색 podzol, 회갈색 podzol, 적황색, podzol, 적갈색 laterite, 황갈색 laterite, laterite
간대성 토양 : 지형, 모재, 시간 드으이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토양
염류토양, 알칼리토양, soloti, 습초지토, 고산습초지토, 소택지토, 반소택지토, 저위부실질 glei화토, planosol, 지하수형 podzol, 지하수형 laterite, 갈색 삼림토, renzina
논토양의 일반적인 특성
토층의 분화(산화층과 환원층)가 있다.
조류에 의한 질소공급이 된다.
연작장해가 일어나지 않는다.
양분의 천연공급이 있다.
인산의 유효화가 진행
일정기간 담수를 한다.
도복과 도열병에 강한 원소 : Si
벼 재배지 추락답
여름철 온도가 높아지고 유기물의 분해가 왕성하면 담수하의 논토양은 심한 환원조건이 되어 유황화합물은 염기적으로 분해하여 뿌리에 유독한 황화수소가 된다.
보통 논과 같이 토양 중에 활성철이 충분하고 토양 반응도 현저한 산성이 아닐 때에는 황화수소는 곧 철과 결합하여 무새한 불용성 황화 제1철로 되어 침전하지만 철분이 부족한 노후화답에서는 이와 같은 황화수소의 무해화가 불충분하다.
적고현상
사질이고 배수가 불량하면 비료를 사용한 직후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져서 토양이 재빨리 환원되고 양분 흡수를 방해하는 유기산, 황화수소 등과 같은 유기물질이 높은 농도로 쌓여 다른 양분의 농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벼가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생육이 더욱 불량해진다. 특히 이때는 칼리의 농도가 높지만 황화수소나 유기산에 의한 흡수장해가 크기 때문에 모내기를 한 수 2~3주가 경고한 심히 환원되는 시기에 적고현상이 나타난다.
황산산성토양 또는 특이산성토양
토층 내에서 황이 많아서 토양을 건조시키면 황이 산화되므로 황산이 생겨 pH값이 3.5이하가 되어 물에 잠겨 있어도 다른 토양과 달리 pH값이 5밖에는 높아지지 못하는 토양들을 황산성 토양이라고 함
밭 토양
우리나라 밭토양은 지형별로 분리했을 때 수리가 잘 안되는 곳에 위치하므로 경사가 있는 곡간지와 산록지에 많이 분포
곡간지는 35.1%, 산악지는 3.8%, 홍적대지는 2.3%, 선상지는 6.2%로 분포
토양 생성 방법에 따른 분류
홍암지 : 하천의 홍수에 의하여 거듭 범람했을 때 퇴적, 생성된 토양으로 1회으 범람으로 수직단면의 층리를 형성하는 것
삼각주 : 하천이 바다에 이르는 곳, 즉 강어귀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땅
붕적토 : 풍화물이 중력으로 경사지에서 미끄러져 이루어진 토양
선상퇴토 : 큰비로 말미암아 경사가 심한 산간 골짜기로부터 평지 또는 하천으로 밀려 내려온 모래, 자갈, 암석조각 등이 부채꼴 모양을 이룬 토양
하안단구 : 본래 홍암지였던 것이 수식에 의해 깍이어 계단상으로 된 것.
암석의 변성
변성암 : 화성암이나 퇴적암이 지하로부터의 새로운 암장의 관입으로 고압, 고온, 수증기 등의 영향을 받아 조암 광물의 새로운 조합 및 구토, 조직 등에 변화를 일으켜 새로 형성된 암석
암석은 고온고압하에서는 공극이 감소되어 비중이 큰 광물이 생성되고, 고온하에서는 탈수 또는 환원되기 쉽다.
작물과 토양

작 물 토 양
논벼 식토
식양토
밭벼 식양토
복숭아 사양토

토양의 빛깔
토양의 빛깔은 착색료의 함량, 함수량, 토성, 모재, 통기 등에 의해 달라짐
착색료로서 중요한 것은 철과 부식이며, 그 밖에 석회, 규산, 망간, 석고, 도토, 수산화 반토 등
토양의 견결성/이쇄성
견결성 : 건조하여 딱딱해지는 성질
이쇄성 : 견결성을 나타내는 수분와 소성을 나타내는 수분의 중간, 즉 반고형의 것으로서 경운하더라도 이겨지는 일이 없고 입자는 연하며 부드러운 입단으로 되어 있다.
유효수분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수분은 포장 용수량과 위조점 사이에 있는 것으로 이를 유효수분이라 한다.
토양 공기의 조성
10~21% 산소, 75~80% 질소, 0.1~10% 이산화탄소.
논토양 환원층
C → CH4, 알데히드
N → N2, NH3
Fe3+ →Fe2+
탈질작용
산소가 부족하고 유기물이 많은 곳에서 일어남
토양 부식의 음전하
점토광물처럼 콜로이드 상태의 부식도 음전하를 띠고 있어서 양이온 흡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식은 분자가 매우 큰 유기화합물이라 볼 수 있다. 이 유기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단으로부터 수소 이온이 해리될 때 음전하가 생긴다. 예를 들면, 탄소, 산소 및 수산기로 구성된 카르복시기로부터 수소이온이 해리되면 카르복시기는 음전하를 띄게 된다. 이 음전하는 토양 pH의 영향을 받는데 토양이 산성이 될 수록 카르복시기의 해리가 억제되어 음전하는 줄어든다.
토양 음전하의 생성요인
동형치환 : 형태상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은체 어떤 형태 내부의 이온들이 다른 외부의 이온과 치환되는 현상으로 음전하의 생성요인
변두리 전하 : 1:1격자형 광물의 경우 반상결정형의 a축 방향이나 c축 방향의 임의위치에서 연결이 끊어질 때 음전하가 유리된다.
잠시적 전하 : 점토광물이 주위의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변동을 가져오는 전하
광물에 따른 음전하 함유량
Montmorillonite : 80~150cmol+/kg
Fine mica : 15~40cmol+/kg
chorite : 10~40cmol+/kg
Kaolinite : 3~15cmol+/kg
illite : 1.3~2cmol+/kg
완충능
토양이 산 또는 알칼리의 첨가에 의한 pH의 변화를 억제하는 성질
논에서의 추락현상
논벼가 생육 초기에 질소의 흡수량이 많아 분얼이 왕성하고 빛깔이 진하여 잘된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지만 양분흡수량간의 균형이 깨어져서 식물체가 각종 병충해가 많아지고 유효분이 적어 후기의 생육이 부진해지는 현상
해결책은 배수하여 지하수위를 낮추는 것이 첫째 조건
논토양의 상태
산화층 : 토의 포면과 물이 접하는 부분의 표층 수mm~1cm정도까지의 산화층에서는 비교적 산소가 많아 호기성 미생물이 활동할 수 있다.
환원층 : 산화층 아래에서는 산소함량이 급격히 작아져 혐기성 미생물의 호흡작용이 우세하여 미생물학적 환원작용의 결과로 생긴 화학성분이온이나 혐기적 호흡생성물이 집적된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