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과, 사서, 데이터분석, 기록물전문가 등 문헌정보학개론 요점 정리 1. 지식정보사회의 개념과 구조

728x90
반응형

1. 지식정보사회의 개념과 구조

1) 지식정보사회의 개념


▶ 정보사회: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결합하여 정보의 축적, 처리, 전달 능력이 획기적으로
증대되면서 정보의 가치가 산업사회에서의 물질이나 에너지 못지않게 중요해지는 사회
▶  지식사회: 노동, 자본이 주된 생산요소였던 산업사회를 넘어 정보와 지식이 개인, 기업,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자 가치 창출의 원천이 되는 사회
▶  지식정보사회(knowledge-information-based society): 지식의 정보화와 정보의 지식화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기반의 지식사회
▶  정보기반의 지식사회는 정보를 전달-가공-저장하는 기술 기반 위에서 어떻게 좀 더 질 높은
부가가치 지향의 지식을 생산하고 창조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사회(도서관의 가치와 그
전통적인 기능은 정보기반의 지식사회에서 필수적)


2) 정보기반 구조


▶  정보기반 구조의 구성요소: 생산자, 제품, 배급자, 배포자, 이용자


[표 1-1] 정보순환의 한 부분인 정보기반구조

생산자 제품 배급자 배포자 이용자
작가
예술가/
음악가
DB제작자
도서
잡지
CD-ROM
데이터베이스
웹페이지
출판사
벤더
인터넷 제공자
학교
도서관
대학
박물관
기업
정부기관
개인
연구자
학생
고용주
피고용인

 

 

▶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배포능력은 인터넷의 도움으로 더욱 확장될 수 있음
▶  사서는 매체들과 전자 및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해야 함
▶  문헌정보학은 방대한 양의 축적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지식에 대한 접근 방법을
제공하며, 지식과 이용자를 연결시키는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학문
▶  축적된 지식을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장소로서 도서관은 정보의 배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어떤 매체를 이용하고 이러한 이용행태와 관련하여 어떤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