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원론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농학원론 요약 정리와 문제 정리 2. 농학의 성립

728x90
반응형

2/2장 농학의 성립


[강의 정리하기] <4~5>
1. 테어에 의한 농학 성립 이전의 농업이론으로는 가부학파, 관방학파, 실험학파(이상 독일), 기업학파(영국)가 있다.




영국에 근원을 둔 학파
뮌히하우젠(1764~73) ; 가부학』을 남겼는데, 그는 가부학자라고 하기에는 농학적이고 체계적이었다. 그러기에 골츠는 그를 평하여 그는 가부학파에 속할 사람이 아니고 18C 후반에 있어 다음 농업혁명에 직접 공헌했던 사람이라고 할 정도였던 것이다.



①유스티 : 농업제도인 경작강제, 공동방목제, 부역제 등을 폐지하려는 정책적 주장을 펴고, 농업제도가 합리적인 농업경영에 있어서 큰 장애가 된다고 생각한 것.
②베크만 : 대학교과서 최초 “독일농업론”을 저술



①슈바르트 : 휴한폐지하고 목초(클로버) 재배. 클로버전경
삼포식농법- 지력증진을 목표로 3년 중 1년을 휴한
클로버, 순무 도입→토양의 개량과 가축의 사육
②베르겐 : 가축사양법 개량에 관한 연구로 가축 사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이것은 테어에게 큰 영향을 줌.



(tull) : 맥류조파기를 발명, 줄뿌림을 비롯해서 마력중경을 실시하여 중노동의 해소와 비용절감.
타운센트 : 영국에 근원을 둠. 삼포식 경영에서 이탈(순무경으로 불림) 노퍽윤작방식을 만들었다.
라이그래스 도입으로 가축사육 급증
*노퍽식농법 : 순무→보리→클로버→밀
: 소농에 의한 농업을 배격하고 대농론을 주장했으며, 윤작과 가축사육을 도입하되 농업경영의 여러 요소간의 적정비례의 성립을 바탕으로 한 기업주의적인 농업론을 주장했다.
테어 농학의 시조. 관방학파 역향이 제일 多[저서 발행 순서]
①영국농업론→ ②합리적인농업원리 → ③일반농학입문
농업경영 4요소
노동, 자본, 조재료(토지), 지력(지식, 기술력)
합리적인 농업원리 : 부식질 - 가축의 사육 윤작
근본사상은 "보상설" => 부식질(보상설의 대상)


2. 19세기 초 테어(Thaer) 농학을 체계화하여 독립된 과학으로서의 위치를 만들어 내는 대업을 완성시킴으로써 농학의 시조로 불리고 있다. 그는 세 가지 대표적인 저서를 발표했는데,
첼레농장에서의 시험을 통해영국농업론을 기술했고,
: 영국 유학 중 기술, 실험적 경영 실시, 모델 경영
뫼글린농장에서의 실험적 시험을 통해
합리적 농업의 원리를 제시했으며,
일반농학입문을 통해 농학의 체계를 독특한 과학체계로 완성시켰다. : 그의 생애를 총결산한 저서로 가장 훌륭한 것. 앞서 설명한 전사학파와는 달리 테어의 학문은 순수하게 농업상의 지식, 문제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것으로 체계화시킨 일이다. 소위 경제적인 문제와 기술적인 문제를 포함하여서 전체로서의 과학적 체계를 수립한 최초의 사람이라는 점에서 농학의 개조라고 불리는 것이다. 또한 테어는 농학이 과학으로서 상응하는 농학의 방법을 제시하고 그 위에 농학의 지식체계화를 이룬 것인데, 농업의 과학은 우선 경험의 바탕 위에서야 하며, 경험의 과정으로서 관찰과 경험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6. 테어농업경영을 노동, 자본, 조재료, 지력의 네 가지 요소의 구체적인 조합체로서 파악했으며, 합리적 농업의 원리는 주어진 상태하에서 최고로 가능한 지속적 순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17] 테어가 농업의 경영이라고 하는 것을 자본의 운용체는?
첫째: 고정자본 , 둘째: 유동자본,
3자본 : 공업 = 재료자본, 농업 = 토지자본(조재료)
★ Thaer 의 사상은? ① 농업을 자본의 투하, 자본의 운용체
② 영국으로부터 기업주의적인 경영관을 이어받았다.

 

1. 18세기에 불었던 농업에 관한 혁신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경작강제의 폐지 2]농기계의 보급 p33
3]공동토지이용의 폐지 4]삼포제의 추진
18세기 있어서 농지제도는 근본적인 개혁이 일어났고, 농업경영의 본연의 자세에도 혁신이 일어나게 되었다. 혼재지제공동토지이용경작강제 등의 폐지, 해체의 기운이 일어났으며, 농기계의 점유보급이 진전되게 되었다. 동시에 종래 부락 전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삼포제를 중지하고, 개개의 농장의 경영방식 속에 클로버와 같은 콩과 목초 및 사료용 사탕무 등의 중경작물을 작부방식에 도입 가축의 사육이 크게 증가되게 되었다.

2. 낡은 농업제도인 경작강제ㆍ공동방목제ㆍ부역제 등을 폐지하려는 정책적 주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낡은 농업제도는 합리적인 농업경영의 큰 장애요인이라고 한 학파는? p36
1]가부학파 2]관방학파 3]실험학파 4]기업학파
관방학파 ; 낡은 농업제도를 폐지하려는 정책적 주장
가부학파 ; 농업의 문제를 기술적이고 경제적인 체계화 공헌.
실험학파 ; 농업상의 구체적인 문제를 들어 실험적 조사연구
기업학파 ; 영국을 배경으로 출발, 소농보다는 대규모농업주장.

3. 다음 중 서로 관계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p34-38
1]Schubart — 클로버전경 2]Townshend — 3포식농법
3]Young — 대농론 4]Bergen — 가축의 사사(舍飼)
Townshend기업학파로 삼포식경영에서 이탈하여 농업경영 속에 순무를 도입하는 데 크게 공헌(순무경), 1730년경에는 순무, 클로버, 라이그래스 등을 조합한 유명한 노퍽농법을 만듬.

7. Thaer는 Celle와 Moglin농장, 그리고 Berlin대학에서 실천적 농업을 통해 많은 저서를 남김으로써 농학의 수립자요 개조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의 저서가 아닌 것은? p39
1]순환보상론 2]『일반농학입문』
3]『영국농업론』 4]『합리적 농업의 이론』
Celle농장에서의 연구와 실천→『영국농업론, Moglin농장과 농학교→『합리적 농업의 원리, Berlin대학과 Moglin대학→ 『일반농학입문농학의 수립자/ 농학의 개조로서 명성을 떨침.

4. Thaer와 농학에 대한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p39-44
1]19세기 초 농학을 과학으로서 체계를 이루고, 독립된 과학으로서의 위치를 구축하는 대업을 완성시켰다.
2]Thaer의 농학체계는 농장에서의 시험적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3]Thaer는 농업일반을 성립시키는 데는 사회전체의 이익보다는 개개의 농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폈다.개개의 농가 이익만이 아니라 사회의 전체적 이익을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4]Thaer는 농업을 자본의 투하, 자본의 운용체로 생각하고 ~.

6. 농업에서 토지는 원료와 재료적 의미를 갖는다고 했다. 무엇을 의미하는가? p43
1]토지가 갖는 장소적 의미 2]토지 속에 내재되어 있는 비옥도
3]생산을 위한 토지에 가해지는 기술 4]자산으로서의 고정자본
비옥도, 토양수분, 토양온도, 토양미생물 작물 생산의 원료자재동력으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의미.

5. Thaer합리적 농업의 원리에서 순환적 인과관계에 있는 농업경영방식의 기본? p46
1]구비- 3포식- 사료작물 2]휴머스-구비- 축사내 가축사육
3]부식질-축사내 가축사육-윤작 4]곡식작물-클로버- 순무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