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원론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농학원론 요약 정리와 문제 정리 6. 농업의 생산적 특질

728x90
반응형

6/6장 농업의 생산적 특질

 

[강의 정리하기] <5>

1. [노동의 시간성과 공간성] 농업생산이라는 인간의 목적적행동적인 노동전개는 두 가지 차원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①시간적 흐름이고, 공간적 확대이다. 인간의 목적적인 노동행위는 노력의 육체적 활동으로, 그것은 의지에 의한 지향성을 가진 시간적 전개방향성을 가진 공간적 확대로 나타난다.

 

2. [농업생산의 시간성과 공간성] 농업생산에 있어서 노동과정유기적 생명체의 생명현상이 자연계절적 시기와 결부되어 있으므로 공업에서와 같은 동시 병렬관계에서 생산의 동시화순간생산이 불가능하며, 농업노동은 전후 종렬관계에서 생산이 이루어진다.

농업생산을 위한 노동공정의 시간적 특성 => 전후 종렬관계

 

3. [농업노동의 일반적인 특질]농업생산의 노동과정은 목적의 대상이 되는 작물ㆍ가축의 이질적인 생육과정을 매개로 하여 나누어지기 때문에 자연히 이질(異質)이량(異量)의 특색을 지니고 있어서 노동수요의 번한의 차가 현저하다. 농업생산에서 농업노동은 공업과는 달리 자연의 계절적 시기와 결부되고, 토지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농업노동의 일반적인 특질 6가지]의 특색을 가진다.

1) 토지면적에 대한 노동의 집약도 : 보합/경쟁/보완관계

노동의 집약도 = 투하노동력 / 생산 1단위

저하될수록 생산성 향상, 경제 고도화 가능

보합관계 : 옥수수-귀리

경쟁관계 : 옥수수, 목화, 고구마, 감자, 담배

보완관계 : 작물(콩과 작물)과 가축

2) 농업노동의 비연속성 : 농업경영의 다각화가 경영합리화를 위한 길 유축농업, 복합영농, 합리적 작부체계

비연속성 : 동시 병렬관계로 변경 불가

다각화의 장점 : 윤작보다 지력유지가 유리, 작부횟수 증가,

생산수단 이용횟수 증가, 부산물 및 잔재물 서로 이용,

위험 분산 및 현금수입 횟수 증가

3) 농업노동의 계절성 : 농번/농한기의 차이

농한기 부업 생산공장

4) 고도의 농업기계화 곤란성 : 한정된 기간에만 사용

5) 시장경제사정의 비적응성 : 농산물은 파생수요, 수요의

불안정성, 자국 소비 우선, 수요는 소득에 비해 비탄력적이다.

킹의 법칙과 엥겔의 법칙이 적용

킹의 법칙 : 농산물 가격은 그 수요나 공급이 조금만 변화하더라도 큰 폭으로 변화한다.

엥겔의 법칙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서 소득에서 음식물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다

6) 가족노동에 의한 영속농업 ; 가족경영의 비중세속농업

 

4. [농업생산의 공간성과 토지] 농업생산은 공간 토지확대 위에 기계적기술적 수단을 매개로 노동집적이 이루어짐으로써 가능하다. 농업생산이 이루어지는 공간적 토지는 원료ㆍ자재ㆍ동력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더 많은 생산을 위해서는 공간 토지의 확대, 즉 농지면적의 확대가 요구된다. 토지는 토지보수점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토지보수점감의 법칙 : 다른 모든 생산 요소량이 일정불변인 경우 어느 1요소의 양을 점차로 증가해 가면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수확량은 처음에는 점차 증가해서 어느 점에 달하면 최고에 달하게 되지만 그 이상으로 투입량을 증가시키면 수확량은 오히려 점감하게 된다. 수확의 차액이 곧 지대를 만들어 내는데, 이것을 집약도지대라고 힌다.

 

5. 농업생산은 농지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농작업의 이동성, 지대의 부담, 공간적 분산에 따른 불이익, 번한에 따른 이동노동, 토지소유의 집착

공간적 토지의 농업상의 문제점

*농업에서 토지가 갖는 특성 : 공간적 토지로서의 특징

1) 농업생산의 장소, 원료, 자재로서의 특징을 갖는다.

49] 원료.자재 및 동력공급원으로서 토지면적의 확대

- 베버의 공업 입지론 => 입지도식은 점과선을 가지고 그려진 삼각도식.

- 튀넨의 농업 입지론 => 입지도식은 면적도식. 원주도식

 

2) 기후적, 토양적 이질성을 갖는다. 자연 은혜의 이질성

50]국가-지역-장소에 따라 농업경관을 형성하는 근본적인 이유?

=> 공간적 토지의 이질성

Amenity : 지역은 지리적으로 특색있는 농업적 경관조성.

51] 다각 다면적의 경영의 근본적인 이유?

=> 자연의 은혜가 균일하지 않다는 것.

 

3) 보수점감의 법칙을 적용받는다.

52]지대의 부담 : 토지는 원료자원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넓은 토지면적은 지대의 부담을 발생시킨다.

Thunen의 지대 시장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토지 수익의 차가 생긴다. 그 차가 곧 지대를 구성하게 된다.

리카도의 차액지대 =>토지적 공간에 의해 자연적 혜택이 달라지므로 그자연적 조건의 우열에 의해 수익에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집약도지대 : 토지보수점감의 법칙이 지배하고 단위당 토지면적에 대한 노동 및 자본 자재 비용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 단위노동 및 자본재 비용당 수확은 점차 감소해 가는데 이와 같은 수확의 차액이 곧 지대를 만들어 간다지대개념

 

농업이 잠재적 실업인구를 흡수, 소화가 가능한 이유

노동소요량의 탄력성을 없앨 수 없기 때문

 

1. 농업생산은 노동과정의 흐름이라는 시간성을 갖는다. 공업생산과 어떤 다른 노동공정의 시간적 특성을 갖는가? p126

1]계절이나 시기에서 해방된다.

2]순간생산과 무한대생산이 가능하다.

3]시간적 전후종열관계를 가진다.

4]시간적 동시병행관계를 가진다.

농업의 시간성, 혹은 시간적 중요성은 노동과정의 흐름으로 상징된다. 그것이 인간의 목적적인 행동활동의 전개로서 그 시간적 확대가 노동과정으로서 상징되는 것은 당연하다. 노동과정은 인간 노동의 전후적인 연결이며, 인간의 신체적인 부분행동의 전후적 연결이라는 시간성을 지닌다.

 

3. 노동공정으로 보아 농업생산에 해당하는 것은? p128

1]전후종열관계 2]동시병렬관계 3]순간생산관계 4]동시화

공업 ; 생산을 위한 노동공정이 동시병렬관계, 공간적 병렬관계, 생산의 동시화관계, 순간생산 등의 특성을 갖는데 대해,

농업의 노동공정은 그 대상인 작물과 가축의 생산번식은 자연계절시간과 결부되어 있어서 계절적 시간적 전후서열관계의 특성을 갖는다.

 

2. 농업의 특질로 보아 농업생산은 시간성과 공간성의 둘의 방향에서 전개되는 영위체계이다. 여기서 시간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노동과정의 자연시간적 흐름 2]토 지 p128

3]원료와 자재 4]자연과 계절

농업생산은 인간행동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가지고 전개되는 영위행위이다. 작물가축의 생육, 번식은 자연계절적 흐름에 결부되어 있으므로 이를 대상으로 하는 인간의 노동과정의 시간성은 부득이 자연계절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4. 농업노동에 있어서 농번기와 농한기가 뚜렷하게 존재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p128,147

1]농업노동은 고도의 기계화가 어렵기 때문임

2]농업노동은 특정의 자연적계절적 시기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임

3]농업노동은 가족노동이 중심이기 때문임

4]농업노동은 살아있는 생명체를 다루는 기술이기 때문임

농업생산에서의 노동과정은 자연적계절적으로 일정한 생산기간 중에서 개시의 시기 및 완료의 시기가 일정하다. 따라서 생산에서 완료의 시기까지의 시간적 길이는 일정해서 변동이 없다. , 계절에 고착되어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농업노동에 있어서 농번기와 농한기가 뚜렷하게 존재하게 된다.

 

8. 농업에는 농한기와 농번기가 존재한다. 가장 큰 이유는?

1]농업의 대상이 계절성에 지배되기 때문이다. p128, 147

2]농업은 작업이 동일하고 단순하기 때문이다.

3]농업노동은 가족노동의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4]농업노동은 고도의 기계화가 가능하여 생력화가 되기 때문이다.

농업노동의 계절성 농업생산노동은 계절적으로 번한의 차가 현저하다. 다량의 노동력이 집중적으로 필요하거나 한가하다. 일정량의 노동의 농업경영의 요인으로서 존재하는 한 어떤 계절에는 노동수요가 적어 농한기가 있게 된다.

 

5. 농업노동의 일반적 특질아닌 것은? p129-136

1]농업노동은 계절적이며 비능률적이다.

2]농업노동은 기계화에 어려움이 있다.

3]유휴농업노동으로 고임금화된다.

4]농업노동은 가족경영이 유리하다.

일반적 특질 집약도 농업노동의 비연속성 농업노동의 계절성 높은 수준의 농기계화의 곤란성 시장경제사정의 비적응성 농업경영의 가족노동

 

6. 농업노동은 자연의 시기적 구속성을 받기 때문에 노동력 이용이 비연속성이다. 노동력 수요의 연속성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p131

1]농작업의 완전 기계화 2]농업경영의 완전 고용노동화

3]작부체계의 다양화와 복합영농의 실시

4]단일 작목의 기업농업화

노동수요의 양적인 연속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각종의 복합영농을 조합하여 생산을 다각적으로 강구하는 노동결합, 또는 노동협동으로 연간을 통한 노동의 균형수요가 실현될 수 있다. 이같은 목적으로 농업경영의 다각화가 경영 합리화의 길임을 지적.

 

7. 농업생산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p133-134

1]농산물 수요는 파생수요로 볼 수 있다.

2]농산물 수요는 소득에 비해 비탄력적이다.

3]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득에서 음식물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다.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서 소득에서 음식물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다는 엥겔의 법칙이 적용된다.

4]농산물 가격은 그 수요나 공급이 조금만 변화하더라도 큰 폭으로 변화한다. 킹의 법칙

 

10. 농업에서의 토지가 갖는 일반적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공간적장소적 균등성를 갖는다. 이질성

2]토지보수점감의 법칙을 적용받는다.

3]기후적토양적인 이질성을 갖는다.

4]농업생산의 장소원료자재로서의 특징을 갖는다.

토지가 갖는 일반적 특성 p137-143

농업생산의 원료재료로서의 토지 ; 공간토지는 바로 자연의 은혜이며 노동과정 전개의 장소라는 것 이상으로 원료재료의 의미를 갖는다.

토지의 보수점감의 법칙 ; 토지는 보수점감의 법칙에 적용받게 되는데 보수점감의 법칙이란 다른 모든 생산요소량이 불변일 경우 어떤 1요소의 양이 점차로 증가해 가면 그것에 의해 수량이 처음에는 증가하지만 어느 점에 도달하면 수확량은 일정해지고, 다시 투하량을 그 이상으로 늘리면 오히려 수확량은 점감한다.

토지공간의 이질성 ; 농업생산을 위한 토지는 기후적토양적인 자연적 조건의 균등성이 없으며 계절적인 차이도 대단히 이질적이다.

 

9. 농업에 있어서는 토지보수점감의 법칙을 적용받게 된다. 그 뜻에 맞는 것은? p138-139

1]토지는 작물을 재배할수록 수량이 떨어진다는 것

2]토지는 작물을 재배할수록 지력이 떨어지는 것

3]토지는 자본과 노동의 투하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수량이 떨어진다는 것

4]토지는 다른 모든 생산요소량이 일정불변일 경우 어떤 1요소의 양을 적정수준이상으로 증가해 주면 그것에 의해 수량은 오히려 떨어지게 된다는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