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론과실제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12. 정신분석학적 상담의 과정과 기법

728x90
반응형

12. 정신분석학적 상담의 과정과 기법

1) 정신분석학적 상담


♠ 상담 목표

①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성격 구조를 수정하는 것
② 본능의 충동에 따르지 않고 현실에 맞게 행동하도록 자아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 상담 목적 무의식의 - 의식화를 통해 자기에 대한 이해와 성장을 촉진하고 건강한 자기개념을
형성 성숙된 , , 인간관계 형성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수용하여 자기 분석력을 갖춘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것이다.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 상담자
- 내담자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 심상 느낌을 표현하게 한다 의식의 왜곡 검열 억제
판단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게 한다 이때 . 상담자는 내담자의 꿈과 자유연상
의 의미를 추론하고 이야기 속 불일치는 없는지 검토한다.
♠ 상담 초기
- . 듣는데 치중하고 꼭 필요할 경우 해석을 해 준다 또한 상담 과정에서 심리적 저항을 나타
내는지 관심을 기울인다.
♠ 내담자
-상담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상담자를 마치 ‘자기의 부모나 이외 주요 타자 로 ’ 생각하고 행
동하는데 이를 , ‘전이 라고 (transference)’ 하며 전이가 , 일어나도록 만드는 동시에 해석을 통
해 전이를 좌절 시킨다 이는 . .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이 된다

♠ 저항
- . 상담자는 저항에 관심을 가지고 적절하게 다루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저항이나 갈등이
드러나도록 자유연상으로 표현하게 하며 내담자의 , 행동 또한 과거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느
낀 감정과 행동을 되풀이하는 것임을 일깨운다.
♠ 성격 구조와 역동관계 이해
-상담자는 마치 거울처럼 행동하여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비추어야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통찰하고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3) 상담 과정


♠ 초기 단계
- 신뢰관계 형성 자유연상 꿈의 분석으로 내담자의 심리적 문제를 파악한 후 내담자와 치료
동맹을 맺는다 치료동맹은 . , , 감정 동기 사고에 대해 비판하지 않고 수용하고 이해할 때 더
욱 깊어진다 이 . 과정에서 내담자는 진정한 한 인간으로서 이해받는 경험을 하게 되고 상담
자에게 더 의존하여 전이욕구를 상담자로부터 충족하려 한다 치료동맹은 . 내담자의 전이감정
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 전이 단계
- . 과거 주요 타자에게 가졌던 유아기적 욕구와 감정을 상담자와 반복하려 한다 이때 상담자
와 내담자는 비현실적인 관계가 되며 내담자는 , 전이욕구를 상담자로부터 충족시키려하나 상
담자는 내담자의 욕구에 중립적 태도를 취하고 그 욕구를 좌절시킨다.
♠ 통찰 단계
-  신뢰의 분위기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의존욕구 사랑욕구의 좌절로 적개심을 상담자에게 표
현하는 모험을 한다 이런 . , 표현은 불안과 죄의식에서 벗어나게 하는 한편 의존욕구와 사랑
욕구 등 숨은 동기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 훈습 단계
- 통찰을 실제 생활로 가져와 훈습하는 노력은 내담자의 행동 변화가 어느 정도 안정되게 일
어나면 종결을 준비한다.

 

4) 상담 기법


♠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 , 내담자가 자신의 마음속 떠오르는 것을 있는 그대로 이야기하는 것으로 상담자는 내담자
가 억압된 내면의 자료를 수집 해석 통찰 , , .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꿈의 분석(dream analysis)
-무의식 세계에 접근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꿈은 내담자의 방어기제가 약화되어 억압된 욕
망과 갈등이 의식의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인데 이 , 꿈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내담자의 심리적
갈등을 통찰한다.
♠ 전이(transference)
-상담 상황에 대한 일종의 왜곡으로 과거 주요 타자에게 느낀 감정을 현재 상담자에게 느끼
는 것이다 이전에 . , , , 억압한 감정 신념 소망 등을 표현하는데 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내담
자의 무의식적 갈등과 문제의 의미를 통찰하도록 돕는다.

♠ 저항(resistance)
- , 상담의 진행을 방해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의식적 ∙ 무의식적 생각 태도, , 감정 행
동을 의미하며 위협이 , . 되는 그 어떤 것을 의식에 떠오르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 해석(interpretation)
- , 내담자의 자유연상 명확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상담자가 추리하여 설명해 주는 것으로 해
석은 내담자의 생각과 감정을 구체화하고 이해가 잘 되도록 요약하기 위해 사용한다.
♠ 해석의 원칙
ⓐ 무의식적 갈등보다 저항에 대한 해석을 우선한다.
ⓑ 해석의 내용이 내담자의 의식 수준이나 수용할 , . 수 있다고 판단될 때 해야 한다
ⓒ 표면적인 것에서 시작하여 점점 깊이 들어간다.
♠ 해석의 내용 내담자의 - , , 원초아적 충동 내담자의 인생사와 현재 문제 간의 관련성 내담자의
불안 내담자의 , , , . 초자아적 규범 내담자의 자기상 내담자의 관점과 현실 세계 간 괴리 등이다
♠ 훈습(working through)
-상담 과정 중 느낀 통찰을 현실 생활에 적용하여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상담을 통해 얻
은 통찰을 실천에 옮겨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