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원론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농학원론 요약 정리와 문제 정리 14. 우리나라 농업의 과제

728x90
반응형

14. 우리나라 농업의 과제

 

[강의 정리하기] <0~1>

1. 세계식량생산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제한된 경지면적과 척박해지는 지구토양, 단위면적당 수확량의 증가율 둔화, 식량생산의 불안정성 증대, 세계화로 인한 생명의 위협을 들 수 있다.

2. 세계 인구는 2015년 기준 71억 명 → 2042년에 80억 명으로 늘어난 뒤 줄어드는 것으로 추계되고 있다. 세계의 곡물생산1950년부터 2000년 사이에 3배가 증가했지만 최근 들어 답보상태에 있다. [세계의 곡물생산 증대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대수층의 수위저하로 나타나는 물 부족, 지나친 경작과 방목으로 인한 표토 유실과 사막화,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재앙, 도로 및 사회간접시설의 확대로 인한 농경지 전용 등이 지적됨.

 

3. 푸드마일리지는 식품 수송량(t)에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수송거리(km)를 곱하여 계산. 푸드마일리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그만큼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푸드마일리지를 낮추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해외의존도를 줄이는 것

 

4. 세계 식량 총 생산량의 88%는 자국에서 소비되고 12%(25,000t) 정도는 국제곡물시장을 통하여 거래, 이 거래량의 80%를 장악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지배력을 통하여 국제시장에서 식량가격의 폭등이나 식량투기를 조장하고, 막대한 이윤을 챙긴다. 식량자급률이 2013년 현재 23% 수준 밖에 안 되는 우리나라도 수입곡물의 60~70% 정도를 곡물메이저에 의존할 정도로 이들의 영향권에 깊숙이 들어가 있다.

※국제곡물시장의 특성 : 엷은/공급자/원시적/비경쟁성 시장

 

5. 지구 기후변화로 인한 한발과 수해로 농산물 생산이 심한 타격을 받고 있다. [기후변화의 주범]석유, 석탄 등을 사용하는 중공업,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증가현상이다.

또, 농업생산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다량의 메탄가스, 아산화질소(N2O)도 지구온난화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6.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보, 환경보존 및 농산물의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환경친화형농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의 과제]

1)우량농지의 보전 2)농업의 지속성 확보 3)농업의 다원적 기능 함양(자연생태계의 유지) 4)기후변화 대응과 그린 투어리즘과 농촌관광 활성화 5)친환경농업의 도입(유기농업)과 농가소득 안정화를 통한 농촌 지역사회유지 6)농촌 고용을 통한 도시 비경제의 완화

 

<확인문제>

1. 세계식량생산구조의 문제점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p259~

1]경작면적은 자연적 요인뿐만 아니라 곡물가격의 등락에 따라 상당히 유동적이다.

2]198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곡물의 단수증가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3]1980년대 이전보다 이후에 기상이변의 발생주기가 빨라짐으로써 곡물생산의 불안정성이 더욱 증폭되었다.

4]지구온난화현상으로 지난 10년간 지구 평균기온이 1상승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기후도 아열대 기후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지난 100년간 지구평균기온이 0.74상승하였으며

 

2. 우리나라에서 푸드마일리지를 낮추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1]식량자급률의 해외의존도를 줄이는 것이다. p263

2]환경친화형 농업을 적극 도입한다.

3]국제곡물시장을 통하여 거래되는 거래량을 다변화한다.

4]무역자유화를 적극 추진한다.

푸드마일리지는 식품의 수송량에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수송거리를 곱한 것.

 

3. 세계 경제질서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p267

1]G6 대비 BRICs의 경제규모비율이 급속히 증가할 것이다.

2]세계경제가 중국인도를 비롯한 신흥국가들의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다극화 할 전망이다.

3]BRICs는 브라질인도러시아중국의 신흥경제 4국을 의미한다.

4]G6는 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를 말한다. TVT인도네시아멕시코터키를 나타낸다.

TVT는 터키베트남태국 3국을 나타낸다. E7BRICs인도네시아멕시코터키를 나타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