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학원론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농학원론 요약 정리와 문제 정리 11. 농학의 학문적 체계, 범위, 구분

728x90
반응형

11장 농학의 학문적 체계, 범위, 구분

[강의 정리하기] <0~1>

1. 테어는 그의 저서 합리적 농업의 원리에서 농학의 범위내용을 기초론경제학토지학농경학작물학축산학으로 포괄적종합적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슐츠는 농학을 자연과학과 인간과학으로 양분시킴으로써 그 후 농학을 2대 계열로 체계화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슐츠의 농학체계

1) 자연과학으로 즉. 외적 자연의 본질에 관한학문으로

2) 인간과학으로, . 인간의 본질에 관한 학문으로 체계화함.

골츠의 농학체계

: 농학통론(농업경영학)과 농학특론(농업생산학)으로 구분

 

2. 룸커농업경영경제학과 농업생산학을 중심에 두고, 그 주변에 보충과목, 그리고 다시 그 주변에 보조과목을 두는 방법을 취하였다. 농학은 발전과 함께 세분화되어 수많은 전문 분과학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전문 분과학과 분과학 사이에 심한 공백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3. 전문 분과학의 분화와 그에 따른 고립화는 농학의 총체적ㆍ종합적 존재를 상실할 우려를 낳았는데, 이에 요코이는 종합적조직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하면서 합관율을 주장하였다. 합관율은 농업의 각 부문 간에는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통합의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요코이의 합관율 - 농업에서 각 부문 간에는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존재하고 있어서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통합의 법칙이 존재한다. 농학의 각 분과학들이 고립되어 상호연관관계를 잃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이 일찍부터 나타났다. 그래서 분과학들의 분해적 연구를 종합하는 농학의 총체적 연구가 필요함을 강하게 주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합관율이란 농업에서 각 부문간에는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존재하고 있어서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통합의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농업의 목적은 이익에 있으나 그를 위해서는 각각의 영농분야가 결합해서 경영함으로써 종합되어 얻는 이익이야말로 농업의 목적.

 

4. 농학의 최종적 학문체계는 전문 분과학과 분과학 사이에 공백을 메우는 중간영역에 성립하는 전문과학이 필요하고, 다시 중간영역과 중간영역을 메우는 전문과학이 입체구조적으로 성립되어 이루어지는 종합적조직적 체계화가 본래의 모습이다.

 

5. 농학의 구분 : 룸커

1) 농업생산학 : 순정자연과학과 응용과학이 혼재

순수자연과학 => 동물학, 식물학, 곤충학, 유전학.

응용과학 => 육종학, 작물학, 축산학

2) 농업경영경제학과 : 농업경영학 및 부기·평가학 등이 중심적으로 발달 해 왔다. 농업생산정책, 농업생산의 기획·시설·설비의 준비. 토지이용경제학, 자본시설설계학, 노동과학

 

4부 우리나라와 세계의 농업구조 변화와 농업의 기본적 존재가치

 


<확인문제>

1. Thaer합리적 농업의 원리에서 다룬 농학의 범위내용은 극히 포괄적이다. 그가 구분한 농학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기초론 2]원예학 3]토지학 4]작물학 p223

Thaer합리적 농업의 원리에서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기초론 과학론, 농장소유, 소작 및 상속 등의 농정론까지 포함

경제학 생산과 교환을 포함

토지학 토양의 성분물리적 성질 및 토지평가

농경학 시비학, 토양의 경운물리적 개량학

작물학 식용작물, 특용작물, 사료작물 포함

축산학 축산 이외에 가공도 포함

 

2. Thaer의 농학체계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포괄적종합적인 농학체계 2]상호 유기적 관련성이 높음

3]소재에 따른 형식적 구분에 의한 전문분과학의 발달

4]직관적전체적으로 파악

소재에 따른 형식적 구분에 의한 전문분과학의 발달은 Thaer 이후 나타난 특징의 하나이다. p223

 

3. 농학의 각 분과학이 각각 고립되어 상호 연관관계를 잃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이 일어난 결과, 분과학들의 분해적 연구를 종합하는 농학의 총체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어 나타난 것은? 1]합관율(合關率) 2]최소율(最少率) p227

3]비례율(比例率) 4]상관율(相關率)

분과학들의 분해적 연구를 종합하는 농학의 총체적 연구

 

4. 오늘날 통용되고 있는 농학의 구분을 설명한 것은? p232

1]농업생산학 혹은 농업기술학과 농업경영경제학

2]농업경영학과 토지운영학

3]토지경제학과 작물학 4]농업경영학과 작물재배학

Thaer에 있어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았으나 그 후에 있어서의 발달은 농학의 2개의 부문으로 구분해 왔다. 그 하나는 농업생산학 혹은 농업기술학이고, 다른 하나는 농업경영경제학이다.

 

5. 농학을 농업경영경제학과 농업생산학으로 구분하는 근거가 아닌 것은? p232

1]생산적 경제학은 주체적운영적인 것이 문제가 되고, 기술적 생산학은 개체적소재적인 것이 문제가 된다.

2]생산적 경제학은 인간 행동의 수단적인 면을 설명하고자 하는 반면, 기술적 경제학은 인간 행동의 목적적인 면을 설명하고자 한다.생산적 경제학가치, 즉 인간행동의 목적적인 면을 지향하여 농업생산을 체계적으로 설명. 기술적 생산학물재, 즉 인간행동의 수단적인 면을 지향하여 농업생산을 체계적으로 설명.

3]생산적 경제학은 소유관계적인 문제가 중심이 되며, 기술적 생산학은 기술관계적인 문제가 중심이 된다.

4]생산적 경제학은 생산의 소재과정 및 그 결과를 항상 가치에 두고 보는 데서 성립되며, 기술적 생산학은 생산의 소재과정과 결과를 물재(物財)에 두고 보는 데서 성립된다.

4부 우리나라와 세계의 농업구조 변화와 농업의 기본적 존재가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