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과실제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복지사 필독할 상담이론과 실제 핵심 정리 33. 게슈탈트 상담 기법의 실습과 적용

aria~ 2023. 10. 21. 11:00
728x90
반응형

33. 게슈탈트 상담 기법의 실습과 적용

1) 게슈탈트 상담사례


(1) 치료기법
① 실험
상담자는 제시에게 주의를 기울인다 상담자는 . 제시가 그의 남편과 싸우는 상황에 대해 얘기

할 때 의자에서 , . 몸이 움츠러들고 팔짱을 끼는 것을 알아차린다 상담자는 제시에게 이런 감
각을 자각하는지 묻는다 제시는 . ? 하나의 실험을 시도하는 것을 좋아하는가
♧  제시가 동의할 때 상담자는 제시에게 몸의 감각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지 이렇게 , 느껴지는
몸의 감각에 대해 기술할 수 있는지 물어본다.
② 상담자의 자기개방
♧  상담자는 아이로서의 제시와 경찰관으로서의 제시가 다르게 느껴진다고 자기개방을 한다. 제
시는 상담자의 말을 듣고 갑자기 눈물을 흘리기 시작하며 이 , 순간은 아이처럼 느껴진다고
말한다 상담자는 . . 이 순간 내가 제시를 돌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대답한다
③ 대화법
♧  상담자는 증가되는 자각과 미해결 과제를 강조하면서 내담자에게 , 상담회기에서 대화를 창조
하도록 요청한다 이 . 대화는 ⓐ 자기의 부분들 ⓑ 상담자나 내담자의 과거나 현재의 주변 사
람들과 이루어진다(Hycner, 1987).
♧  대화는 성격에서 ‘분리 된 (splits)’ 부분이나 양극단 사이에서 창출될 수 있다(Levitsky &
Perls, 1970).
♧  역사적으로 아주 유명한 대화법은 상전 과 (top dog) (underdog) (Levitsky & Perls, 하인 이다
1970).
상담자는 제시가 엄마와의 사랑과 소속감에 관한 미해결 과제가 있다고 가정했다. 상담자는 제
시에게 엄마에게 말하고 싶은지 물었다 이에 . 제시는 처음에는 주저했으나 엄마와 대화를 시도
하는 실험에 동의한다.
상담자 1: . 엄마에게 지금 제시가 경험하고 있는 것을 말해보세요
제 시 1: . 난 엄마와 가까이 있길 원해
상담자 2: ? 지금 어떤 느낌이세요
제 시 2: . . . 전 슬퍼요 화가 나요 전 당신을 상처주고 싶어요
상담자 3: . 다시 말해보세요
제 시 3: ! 나는 화가 난다
④ 과장하기
♧  만약 내담자가 경험의 어떤 측면 비언어적 을 ( ) 자각하지 못한다면 상담자는 동작을 과장하도
록 안내한다 내담자가 (Levitsky & Perls, 1970). 하는 표현은 불충분하거나 미숙하므로 상
담자는 좀 더 진정성 있게 행동하도록 돕는다 내담자는 . . 다리를 흔들 수 있다 상담자는 더
과장해서 다리를 흔들도록 요청한다 이로써 . , 다리 흔드는 행동을 알아차리며 이와 관련된
내담자의 신념 느낌 과거사에 , , (Wheeler & Axelsson, 대한 자각을 증대시키려고 시도한다
2015). , . 말을 얼버무릴 경우 그 말을 좀 더 힘 있게 반복하도록 요청한다
상담자는 제시가 엄마에 관해 얘기할 때 제시의 , . 어깨가 구부러지는 것을 알아차린다

상담자 1: ? 어깨를 구부리는 것을 알아차렸나요
제 시 1: ? 별로 그렇지 않은데요
상담자 2: ? 긴장감을 과장해서 나타내보시겠어요 이런 과장된 긴장감이 어떤지 말해보시겠
어요?
제 시 2: . 엄마에게 받은 심리적 타격으로부터 자를 보호하고 있어요
⑤ 반전
♧  관찰 가능한 행동은 때로는 주요한 충동의 반대 극단의 ( ) , 반대쪽 라는 것을 인식하며 상담자
는 내담자에게 반대로 행동하도록 요청한다(Levitsky & Perls, 1970).
♧  예를 들어 부끄러움을 타는 내담자는 외향적으로 행동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담자는 제시가 남편과의 관계에서 수동적이며 언제나 , 남편을 만족시켜주려고 노력하는
점을 관찰했다 빈 ( ). 의자 기법에서 관찰 상담자는 제시에게 빈 의자의 뒤에 남편을 앉히고
두목처럼 참을성이 , , , . 없고 성질이 조급하며 고압적인 여성으로 행동하도록 요청했다
⑥ 꿈 작업
♧  펄스 는 (1970) 꿈을 ‘ ’ 통합으로 가는 왕도 라고 (p. 204) 명명하고 꿈은 인간 표현의 가장 자발
적인 형태로 간주한다 프로이트의 . ( 꿈에 대한 입장은 암시적인 데 꿈은 ‘ 무의식으로 가는 왕
도 반해 ’) . 게슈탈트에서는 정신분석의 방식과 아주 다르다
♧  게슈탈트 치료의 꿈 작업 펄스의 ( ) , 접근 의 경우 내담자는 꿈의 부분들에 역할을 주며 꿈의
각 부분에 고유의 언어와 경험을 부여한다 꿈에서 . , 등장하는 모든 사물 사람에게 목소리와
행동을 주면서 ‘시연 해야 (play)’ 한다고 주장한다 꿈에 . 나타나는 사물과 사람은 꿈의 요소로
상징화되는 자기의 경험을 표상하기 때문이다.
♧  대부분 내담자가 자기 것으로 소유하지 못한 것이나 삶에서 중요한 사람을 표상한다
(Staemmler, 2004). 상담자는 꿈을 본질적으로 내담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으
로 이해하고 상식 수준에서 벗어난 해석을 해서는 안 된다(E. Cain, 2013).
ⓐ 현재 시제로 꿈에 대해 얘기하기
ⓑ 꾸었던 꿈과 다른 결말 창출하기
ⓒ 꿈의 줄거리를 비언어적으로 표현하기
ⓓ 꿈의 요인들 간 대화법 같은 것으로 개입하기
제시는 정원사가 되는 꿈을 꾼다 제시는 . , . 꿈에서 괭이와 삽 정원용 장갑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매우 기뻐서 꽃과 채소들을 심고 그것들이 자라는 모습을 본다.
상담자 1: ? 꿈의 부분들을 연기해 주시겠어요
제 시 1: . . 우선 괭이가 되어 흙을 파서 일군다 다음 삽이 되어 흙을 운반한다 장갑은 모
든 것을 보호하고 있다 꽃과 . . ( 식물은 흙과 싸워서 햇빛을 받으며 나온다 상담실을 이리저
리 움직이면서 이런 , .) 꿈의 요소들에 대한 신체적 자각을 한다

⑦ 양극단과 작업하기
♧  내담자의 겉으로 드러난 행동에 어떤 것들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해 자각하지만 종종 무엇
이 누락되어 있는지에 더 관심이 있다 내담자는 (Parlett & Hemming, 1996). 자기의 한 측
면을 억제하거나 “자신의 것으로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즉 .” 자신의 것으로 소유하지 못하
는 측면은 양극단의 한 지점이 되는 경향이 있다 예로는 . - , - , 지저분한 깨끗한 강한 약한 사랑
- , - , - . 증오 의존감 책임감 가장 유명한 상전 하인이다
♧ 상담자는 덜 독한 언어로 내담자가 양극단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Parlett & Hemming,
1996). , 내담자는 투사 시연과 비슷하게 양극단에 대해 시연하도록 요청받으며 두 의자 대화
법에서 양극단 각각의 역할을 하도록 요청받는다.
제시는 강함과 약함이란 양극단성을 보여준다 제시는 . , 거칠고 강한 경찰관이지만 관계에서
는 약하고 의존적인 사람이다 상담자는 . 제시의 이런 분리에 대해 자각하도록 돕기 위해
양극단의 모습 모두를 시연하도록 한다.
⑧ 자각 훈련 또는 신체 작업
♧ 어떤 의미에서 게슈탈트 상담은 자각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상담자는 . 내담자로 하여금 신
체 감각에 대해 좀 더 알아차리도록 작업한다 왜냐하면 . 신체 감각은 자각을 방해하는 경험
의 측면에 대한 단서를 주기 때문이다(Wheeler & Axelsson, 2015).
♧  상담자는 내담자의 중요한 신체 감각 호흡 목소리 ( , , ) 통 신체 동작 등 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
도록 요청한다.
상담자는 제시가 남편에 관해 얘기할 때 주먹을 , . 꽉 쥐는 것을 보았다 상담자는 제시에게
주먹 쥐는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런 긴장이 어떻게 경험되는지 주목하도록 요청한다.
상담자는 심지어 제시에게 주먹을 쥐는 행동을 ‘ ’ 시연 하도록 요청한다.

 

2) 개인적 ∙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논의
♧  많은 비평가들은 게슈탈트 치료의 개인적 편향성에 대해 지적한다. (Saner, 1989) 새너 는 대
부분 미국의 게슈탈트 이론가와 상담자는 문화적 가치의 영향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고 있으
며 고정된 , , 게슈탈트는 개별주의 또는 개인적 신경증으로만 잘 기술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지 못한다 그는 . 미국에서 만들어진 현대의 게슈탈트 치료 형태는 보편적으로 타당하지 않으
며 진실로 문화 간에 타당하고 의미 있으려면 게슈탈트의 이론적 ∙ 방법론적 수정이 필요하
다고 하였다(p. 59).
♧  프루 는 (Frew, 2013) 유기체의 자기조절 같은 개념은 집단주의 문화에 속한 개인과는 맞지
않다고 언급했다 게슈탈트에서 . 언어적 ∙ 정서적 ∙ 행동적 표현을 강조하는 것은 많은 집단주
의 문화의 가치와 상충된다(Sue & Sue, 2013).
♧  게슈탈트 치료 이론의 저자들은 성소수자에게 관심을 갖는다. F. (F. Curtis, 1994) 커티스 와 싱어 는 (Singer, 1994) . 게이와 레즈비언 커플을 위한 게슈탈트 치료 부분을 제시했다 싱어는
게이 커플을 위한 게슈탈트 치료가 기존 게슈탈트 치료와 다르지 않음을 알리며 그들의 특
정 이슈에 대해서도 잘 기술하고 있다.
♧  앤즈 는 (Enns, 1987) . 게슈탈트 치료에서의 여성주의 관점을 기술했다 게슈탈트 치료가 자각
과 개인적인 힘을 강조하기 때문에 여성주의적 지향점과 여러 가지 방식에서 일치한다고 주
장했다 책임감과 . . 개인주의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기본
적인 상호 연결성을 간과한다고 주장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