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교육학과, 평생교육사 등 교육사회학 요점 정리 39. 입학사정관제의 기대와 우려 등

aria~ 2022. 8. 11. 13:18
728x90
반응형

39. 입학사정관제의 기대와 우려 등

1. 입학사정관제의 기대와 우려

입학사정관제에 관한 사회적 기대와 우려
사회적 기대 사회적 우려
ü 공교육의 정상화 도모
ü 대학자율화 추구의 기반 마련
ü 사교육비 경감과 교육 양극화 해소
ü 우수학생의 개념 변화로 인한 소질과 적성 중심 교육 중시
ü 다면적 종합평가를 통해 과도한 성적 중심 대학입시교육 개선
ü 정부주도지원예산의 한계
ü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과 투명성
ü 입학사정관의 전문적 판단 능력의 미비
ü 신 사교육비의 발생으로 인한 교육 양극화
ü 고급등급제의 반영으로 인한 학교 격차 심화
ü 다양한 전형자료의 스펙 관리로 인한 대학입시의 부담감 증가

 

 

2. 입학사정관제의 논의


1) 입학사정관제 논점
① 사교육을 받지 않고 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공교육의 정상화가 실현된다는 것을 내포한다.
② 한국의 입학사정관제는 사교육 경감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③ 스펙 관리를 위한 사교육에 집중하게 된다.
④ 스펙 관리의 사교육 열풍은 학생들에게서 엄청난 중압감으로 작용한다.

 

▼ 보도자료

대학고교 입시에서 입학사정관자기주도적 전형이 확산되면서 초등학교 사교육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보충
선행학습에 집중하던 과거와 달리 영어논술 바람은 이미 불었고, 나름의 특징과 이력을 쌓는 ‘스팩’ 경쟁이 더해지는
상황이다.
반장
회장 선거에서 대학특목고 입시가 회자되는게 단적이다.
대학
고교 입시의 ‘리더쉽‘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경험을 쌓는 게 도움이 된다는
뜻이다. (경향신문,2003,3,9)

 

2) 입학사정관제 공정성 문제
① 입학사정관제의 사회적 공정성
- 스펙과 사교육비는 정비례하여 ‘경제적 부’ 에 의해 대학이 결정되므로, 사회적 공정성의 문제가 제기된다.
② 입학사정관제의 교육적 공정성
- 입학사정관제의 취지와 달리, 우수학생을 성적 위주의 학력(學力)으로 선발하게 되므로, 교육적 공정성에
문제가 제기된다.
③ 입학사정관제의 선발체제의 공정성
- 교사 추천서의 허위 작성, 자기소개서의 대필 의혹, 각종 서류의 위조 등에 대한 검증 시스템이 매우 미비하다는 것이다.
- 사회적 일탈 전력이 있는 학생이 인위적으로 가공한 미화에 의해 선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