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교육학과, 평생교육사 등 교육사회학 요점 정리 32. 일제강점기 교육의 특징 등

aria~ 2022. 8. 7. 08:24
728x90
반응형

32. 일제강점기 교육의 특징 등

1. 일제강점기 교육의 특징
- 한말은 근대학제의 개편이 서서히 시작된 시기다.
- 1893년 고종은 ‘교육입국조서’ 를 공포하여 신교육을 강조하였다.
- 1894년에는 과거제를 폐지하고 신교육 중심의 관료선발제도로 개편하였다.
- 당시의 근대학제는 매우 미약한 상황이었으나 서서히 제도적으로 교육의 사회적 혜택이 부여되어 교육
경쟁 양식은 사회적 이해관계와 관련을 맺고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 1897년과 1906년에 한학이 감소하고 영어, 불어, 일어, 독어 학교의 순으로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 이 시기의 교육적 상황에 대해 아펜젤러는 한국 사람의 영어 향학열은 높았지만 보다 높은 자리로 올라가는
디딤돌의 구실로 생각하였다고 한다.
- 1920년대에 들면서 취학의 욕구가 급격하게 나타나고 학력경쟁은 본격적으로 점화되기 시작하였다.
- 1927년에 언론에 의해 ‘시험지옥’ 이라는 용어가 처음 나타났다고 한다.
- 당시의 상황에 대해 동아일보는 조선과 같이 입학난이 심한 곳은 세계 각국을 다녀보아도 없을 것이라며
구체적인 사례를 전하고 있다.
- 1920년 이후부터 교육과 직업구조가 직접적인 연계성을 가지면서 학벌주의는 사회적으로 성행하였다.

 

2. 1950년대 교육의 특징
- 해방 이후 남한의 경제사정은 매우 열악하였으나 교육열은 조금도 약화되지 않았다.
- 미육군성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교육에 관심이 매우 많았고 그 기회를 잡으려고 열망하였다고 한다.
- 그러나 1950년에 일어난 6.25전쟁은 재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 국토를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았다. 전쟁 중
먹고살기도 힘든 상황임에도 우리 국민은 교육의 끈을 놓지 않았다.
- 전시하특별배치요강에서 보듯이 전란의 상황은 매우 어려웠고 실제의 교육적 상황은 더욱 극심하였다.
- 미국의 트루만 대통령의 특사로 온 재섭의 기록에 따르면 전국 초등학교의 17,561개는 지붕이 없는 노천교실에서
학생들이 공부하였으며 여기서 수업을 받는 학생의 수는 무려 1,229,270명에 달했다고 한다.

 

3. 1960~1970년대 교육의 특징
- 1960년대에 들어서도 중학교의 입시경쟁은 전혀 수그러들지 않았다.
- 초등학교의 일류 지향적 입시경쟁은 거의 생존권적 경쟁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치열하였다.
- 당시의 교육의 사회적 분위기는 입시경쟁이 팽배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부작용이 있었다.
- 중학교 입시제도는 교육적, 사회적으로 과중함 부담을 주어 1969년부터 주요 일류 중학교를 연차로 폐
쇄하거나 학교명을 바꾸게 하여 중학교 입시경쟁의 뿌리를 제거하기 시작하였다.
- 중학교의 심각한 입시지옥을 해결하기 위해 1973년을 시작으로 고등학교평준화정책을 실시하여 고등학교에
대한 기회를 확대하였다.
- 1973년 발표된 대학학생조정안으로 인해 고교평준화에 따른 교원수급의 필요성으로 사범계 정원이 증가하였고,
산업적 수요로 인한 이공계 정원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4. 1980년대 교육의 특징
- 1970년대에는 경제적 상황이 호전되면서 교육열은 오히려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이 당시에는 치맛바람,
비인간화 교육, 과열 과외, 재수생의 증가 등으로 인해 사회 전체가 몸살을 앓고 있었다.

- 정치사회적 기반이 약했던 제5공 정권은 전 국민의 관심사였던 교육문제를 해소하면 정치적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1980년에 「교육정상화를 위한 과열과외 해소방안」 이라는 소위 7.30 교육정책을 발표하였다.
- 1970년대는 대학의 좁은 문으로 인해 일정한 학력을 갖추지 못하면 진학 자체를 희망하지 않은 교육의
냉각 기간이었다.
- 하지만 7.30 교육정책의 대학정원 증원은 오히려 교육의 열기를 부채질하였다. 대학입시를 포기했던 사람들이
전국적으로 가세하여 오히려 대학입시경쟁을 가중시켰던 것이다.
- 7.30 교육정책이 기대와 달리 성공을 거두지 못한 이유는 우리나라 교육경쟁의 수직적, 수평적 학력경쟁
구조를 간과하였기 때문이다.
- 당시 교육지옥의 상황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하는 학생이 속출하였다.

 

5. 1990년대 교육의 특징
- 당시의 특이한 현상은 대학입시교육을 초등학교 이전부터 준비했다는 것이다.
- 심지어 영어발음을 좋게 하기 위해 유아 단계에 있는 어린 아동의 혀를 길게 하는 수술이 성행되는 기현상이
회자되기도 하였다.
- 조기유학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 조기유학의 이면에는 원하는 학력(벌)을 획득하여 높은 사회적 지위를 점유하기 위한 열망의 표현이 담겨있다.

 

6. 2000년대 교육의 특징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학생들의 입시부담을 덜어 준다는 것이, 초등학생부터 스펙 관리를 하게 하여, 오히려 그 부담감을
엄청나게 가중시켰다. 이때부터 ‘내신+수능+논술’이라는 ‘죽음의 트라이앵글’에서 입학사정관제를 위한 ‘스펙’이 가미되면
서 ‘죽음의 삼각지대’라는 신조어가 탄생되었다. 스펙 관리가 얼마나 힘들었으면 ‘저승 스펙’이라는 단어가 생길 정도였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