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과, 사서, 데이터분석, 기록물전문가 등 문헌정보학개론 요점 정리 9.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9.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1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1) 커뮤니케이션의 의미
♠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개체 간에 공동의 상징체계를 통해서 의미를 주고받는 현상,
즉 정보를 전달 하는 상호작용의 과정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 모두 포함)
♠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환경의 감시 기능, 상호조정해주는 기능, 문화적 유산의 전수 기능,
휴식이나 오락
♠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개인이 타인, 조직이나, 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정보를 생산하고
전달 및 이용하는 과정
♠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 전달자: 메시지를 보내는 개인이나 집단으로 의도와 속성(태도, 지식, 기술 등)을 지님
- 수용자: 메시지를 받는 개인이나 집단으로 메시지에 반응함
- 메시지: 전달자가 만든 내용을 기호로 처리한 것
- 채널: 이를 통해 메시지가 전달됨
- 효과: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인 수용자의 반응
- 피드백: 상대방의 반응을 받고 자신의 메시지를 수정한 후 다시 되돌려 반응하는 것.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연속적이고 순환적이게 하는 것.
- 노이즈: 메시지 전달과정의 방해요인
♠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개인 커뮤니케이션, 대인 커뮤니케이션, 집단(또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매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2 미디어 발달과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변화
l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미디어이며 언어가 주 도구이던
시대를 지나 다양한 미디어 발달로 커뮤니케이션 양식에 변화가 옴
(1) 구어와 구두커뮤니케이션: 가장 원시적인 형태(기본적인 미디어는 말)
(2) 인쇄미디어와 문자커뮤니케이션
① 객관화의 경향
② 탈맥락적 커뮤니케이션을 유발
③ 정보축적형 메시지
④ 상호작용성을 단절시킴
(3) 영상미디어와 영상커뮤니케이션
① 복합적인 감각에 호소
② 공간과 시간의 기억을 상호결합시킴
③ 사회적 현존감을 창조(재현성, 모방성, 모사성)
④ 수용자의 해석 가능성을 높여줌
(4) 컴퓨터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
① 비동시적 커뮤니케이션
② 사회적인 거리감 극복
③ 다양한 구성원들의 동시적 참여와 상호작용적 관계 형성
④ 기술적인 언어체계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