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과, 사서, 데이터분석, 기록물전문가 등 문헌정보학개론 요점 정리 5. 차세대 도서관의 적용 기술
aria~
2024. 12. 25. 04:12
728x90
반응형
5. 차세대 도서관의 적용 기술
l 역사적으로 도서관은 인류 지식의 총체이자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l 도서관이 제공하는 지식정보의 유형과 제공되는 방식은 끊임없이 변화
(1) 사물인터넷
♠ 네트워크, 센서, 플랫폼의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
- 도서관을 구성하는 사물들에 센서와 태그를 부착하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 사례: 비콘 알림, 이용자 위치 알림, 출입 및 열람 좌석 예약, 경로 안내, 실내 공기 질
모니터링, 스마트 락커, 모바일 대출
(2) 클라우드 컴퓨팅
♠ IT 인프라스트럭처를 외부화시켜 공유하는 기술
- 사례: OCLC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국회도서관 국가학술정보 융합데이터
(3) 빅데이터
♠ 기존의 방식으로는 저장, 관리, 분석이 어려울 정도로 규모가 크고 데이터의 순환, 처리
등의 속도가 빠르며, 형식이 다양한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칭
(4) 인공지능-인지컴퓨팅
♠ 인공지능은 인간의 신경망을 수학 통계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컴퓨팅 기술, 인지컴퓨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인간의 두뇌가 시각, 청각, 촉각 등 오감을 정보로 받아들여 인지하고
처리하여 응용하는 정보처리방식을 모델링한 기술
- 사례: 챗봇
(5) 인터랙션 · 스마트 콘텐츠
♠ AR, MR, VR(증강현실, 혼합현실, 가상현실)처럼 상용화되고 있는 간접체험 기술과
소셜클라우드 협업을 포함하며, 관련 기기대여 서비스와 응용 콘텐츠 제공 서비스로 구분됨
(6) ICT 융복합 디바이스
♠ 3D프린터, 장서점검 로봇
728x90
반응형